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혈액형은 왜 ABC 순서로 가지 않는 것인가요?

일반적으로 혈액형은 A B AB O형으로 나뉘어집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파벳 순서인 A B C 순서로 가는 것이 맞는 것 같은데 왜 ABC 순서로 가지 않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혈액형을 처음 밝혀냈을 때 A,B,C,AB로 정했습니다.

    이후 적혈구세포 표면의 항원이 혈액형이 나뉘는 이유로 밝혀졌고

    A형은 항원A만

    B형은 항원B만

    AB형은 항원A와 항원B 둘다있음

    C형은 항원이 둘 다 없음으로 밝혀져

    C형은 없다는 의미를 가진 O로 바꾸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혈액형을 가장 먼저 발견했을 시에는 ABC로 표기를 했습니다. 다만, ABO로 바뀐 것에 대한 이유는 여러 가지 추측이 있습니다. C 혈액형은 적혈구와 응집을 하지 않아 영어로 without을 뜻하는 독일어 Ohne의 첫 글자의 O를 따서 ABO 혈액형이라고 명명했다는 의견이 있고 아라비아 숫자 0이 알파벳 O로 변경되었다는 추측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혈액형이 처음 발견됐을 때 분류법은 A형, B형, C형으로 분류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뒤이어 AB형이 발견되었는데요, 1927년 국제연맹의 전문위원회에서 이 네 혈액형을 쓰기로 결의했습니다. 그런데 많은 학자들이 필기를 하거나 인쇄를 하는 중에 C형이 O형으로 읽히는 바람에 분명 C형으로 썼는데 인쇄가 잘못된 건지 글씨를 잘못 쓴 건지 O형으로 읽히는 착오가 생겨나 어느새 C형이 O형으로 사용되었다고 하며, 오늘날까지도 A, B, AB, O형의 혈액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 혈액형의 명명은 알파벳 순서가 아닌 혈액형의 발견 순서와 유전적 특성에 기반합니다. A형과 B형이 먼저 발견되었고, 이후 AB형이 발견되었습니다. O형은 A형과 B형 항원이 모두 없는 형태로, 'ohne'(독일어로 '없음'을 의미)의 첫 글자를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따라서 O형은 알파벳 순서와는 무관하게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명명 방식은 혈액형의 과학적 발견 과정과 특성을 반영하며, 의학계에서 널리 통용되는 방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입니다.

    A형은 a항체를 가지고있고 B형은 b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o형은 ab항체를 모두 가지고 있지 않아 독일어로 없다라는 뜻의 ohne 에서 O를 따서 O형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혈액형을 표시하는 ABO 시스템은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됩니다. 이 순서는 알파벳 순서인 A, B, AB, O로 표기되며, 이는 해당 혈액형의 특성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순서입니다.

    혈액형을 A, B, C로 표기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ABO 혈액형 시스템이 다른 혈액형 시스템과는 독립적인 분류 체계이기 때문입니다. ABO 시스템은 혈액의 적혈구 표면에 존재하는 A 및 B 항원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구분되며, 이에 따라 A형, B형, AB형, O형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사실 처음 밝혀진 혈액형들은 A형과 B형으로, 두가지의 항원과 반대되는 항체가 발견되면서 혈액형이라는것이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는 A형과 B형의 항원항체를 모두 갖는 사람들도 존재했는데, A형항원과 B형 항원이 모두 적혈구에 달려있는 사람은 AB형, 항원이 전혀없지만 혈액 내 A형 항체와 B형 항체를 모두 갖고있는 혈액형이 발견되었습니다.

    보통 혈액형을 명명할때 적혈구 표면위에 드러난 항원지표를 따서 만드는데 두가지 항원이 모두 없는 적혈구를 가진 사람은 항원이 없다는 뜻의 0 혈액형을 부여받았고, 이는 알파벳식으로 표기되어서 O형이라고 표현되었습니다.

    그래서 A형식, B형식, O형식으로 나뉘게 되었고 이는 현재까지 계속 지속되어 ABO식 혈액형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람혈액형의 메커니즘과 다르게 강아지나 고양이는 O형 혈액형이 없어 A,B,AB 식 혈액형을 갖거나 아예 다른 혈액형을 갖게 됩니다. 또한 돼지는 A형과 O형만 존재하기때문에 AO형식 혈액형명칭을 사용하기도 하죠.

    결론적으로는 알파벳 순서라기보다 A형과 B형은 알파벳순서가 맞지만 이후로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명명된 체계를 따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