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고상한흰죽지226
고상한흰죽지226

전기전도도 공식과 전기용량 공식의 관계에 대해 질문합니다

전기전도도 공식에 따르면 전기전도도는 비저항×(l÷RA)이고, 전기 용량은 입실런×S÷d이잖아요. 그런데 제가 여기서 든 생각은 전기 전도도가 높아지면, 전자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니까 전기용량도 높아지지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좀 생각해보니 전기전도도는 전자가 얼마나 원활하게 흐르냐에 따른 수치를 나타내는것이고, 전기용량은 축전기에 얼마나 많은 전하가 저장되어있냐에 중점이 맞춰져 있기때문에, 전기전도도가 어떻든 전기용량은 상관이 없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전도도와 전기용량은 물리적으로 다른 성질을 의미합니다. 전기전도도는 물질 내에서 전류가 얼마나 잘 흐르는지를 나타내며, 전도의 효율을 측정합니다. 이때 전기전도도는 비저항의 역수로 표현됩니다. 반면 전기용량은 축전기에서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므로, 그 값은 입실런(유전율)과 축전기 판의 면적, 거리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고로 두 개념은 전기적 특성과 응용에 있어서 독립적인 변수들에 의해 각각 정의되므로, 전기전도도가 높다고 해서 전기용량이 반드시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각각의 시스템에서 다르게 설계되고 사용되는 특성입니다. 전도도와 용량은 별개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논리적 고찰은 매우 합리적인 접근이지만, 전기전도도와 전기용량은 기본적으로 다른 물리적 개념을 설명합니다. 전기전도도는 전류가 재료를 통해 얼마나 쉽게 흐를 수 있는지를 나타내며, 저항과 관련이 깊습니다. 반면, 전기용량은 축전기가 전하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주로 두 도체 간의 거리와 면적, 그리고 그 사이의 유전체 재료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고 해서 직접적으로 전기용량이 높아진다고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유사한 조건 하에서 재질 선택이나 전자기장 특성을 고려할 때 두 개념 간의 상관성을 고민할 여지가 있을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전기 전도도가 높아지면, 전자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니까 전기용량도 높아질수 있습니다만

    보통 전기용량은 인위적인 충전에 기인하기 때문에 보통은 그 영향요인이 극히 적어서 수식에는 반영되지 않는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