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
신랄한갈매기새우깡이먹고싶습니다21.11.22

감기와 폐렴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감기와 폐렴이 어떻게 다른가요?

감기가 심해지면 폐렴이 걸린다는 이야기도 있고

폐렴이 감기로 변한다는 이야기도 있고

감기에 걸리지 않아도 폐렴에 걸릴 수 있는건가요?

상세하게 안내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감기는 코와 목 기관지 주위 염증입니다. 폐 깊은 곳이 아니고 얕은 곳에 염증이 생겨서

    금방 좋아집니다.

    폐렴의 경우는 폐 깊은 곳 세기관지 까지 염증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보통은 감기가 심해져서 생기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처음에는 감기 증상과 비슷하게 시작합니다.

    폐렴이 나아갈 때 감기 증상이 약간 남는 경우는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1.24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흔히들 말하기로 감기는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을 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

    감기가 심해지면 하기도감염인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도 증상없이 폐렴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렴이 감기로 변한다는 말은 부정확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하여 기침, 콧물 등 증상 생기면 상기도 감염이라 하여 이를 감기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하기도 즉 페쪽 으로 침범하게 되면 폐에 염증이 새익면서 폐렴이 생기게 됩니다.

    즉, 바이러스 혹은 세균이 침범하는 위치에 따라 부르는 명칭도 달라지고, 심각도도 달라지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감기의 경우 상기도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폐렴은 하기도의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말씀하신 감기가 심해지면 폐렴에 걸린다는 이야기는 맞는 말입니다. 다만 폐렴에 걸리기 위해서 반드시 감긱에 걸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폐렴은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음식물 흡인, 구토물 흡인 등 원인이 다양하며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일수 있으나 고열, 기침, 누런 가래가 일주일 이상 지속할수 있습니다. 치료는 주로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감기는 보통 코, 인후, 부비동,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감염 되면서 발생하는 호흡기질환입니다. 현재까지 감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이러스는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약 200여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증상이 보통은 심하지 않기때문에 증상에 대한 치료를 하게 됩니다.


  • 감기와 독감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모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감기는 아데노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에 의해 생기며 주로 증상이 심하지 않은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며 입원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독감이라고 부르는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기며, 많은 경우에는 심한 감기 증상처럼 앓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중증 폐렴으로 진행하여 심하면 사망도 이를 수 있습니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달라져서 매해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게 됩니다.

    코로나19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보통 전파력이 높은 경우 중증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낮고 (감기처럼) 반대로 중증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높으면 전파력이 낮은데 (과거 메르스처럼) 코로나 19는 높은 전파력과 비교적 높은 중증도를 가진 바이러스 입니다.

    가볍게 앓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 면역저하자의 경우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폐렴은 앞서 말씀드린 인플루엔자나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또는 여러 가지 세균 (박테리아) 감염에 의해 폐 실질 자체나 기관지에 심한 염증반응이 생기는 것으로 기침이나 발열 같은 증상 이외에도 심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세균 감염에 의한 폐렴은 항생제로 치료하지만 바이러스 폐렴의 대다수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증상 호전을 위한 치료를 위주로 진행합니다

    (코로나19의 경우 치료제가 개발되어 현재 사용중입니다)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