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다람쥐 268
다람쥐 268

바이러스에 잠복기가 있는 이유?

대부분 바이러스는 몸에침투하면

한 3일정도? 잠복기를 가지잖아요

이런 잠복기를 왜 가지는건지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자기가 분열하여 종족을 번식할 수 있는 기능이 완벽하지 않은 생물로서

    숙주 세포의 기능을 이용하여 자기 분열을 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밀가루 반죽만 할줄 아는 사람이 동네 빵집에 몰래 들어가서 거기 있는 오븐과 같은 장비를 모두 사용해서 빵을 만드는 기생충과 같은 행위를 한다는것이죠.

    그리고 숙주 세포에서 자기 분열을 끝내면 그 세포를 터트려서 외부로 방출되면서 주변에 다른 숙주 세포를 감염시키면서 숙주의 몸 안에서 증식을 계속합니다.

    이 세포가 터지는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증상이 유발되기에 그 시기까지가 잠복기가 되는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세균과 다르게 생명체를 숙주로 하여 기생하고 증식하는 병원체 입니다. 하여 생명체에 최초 침투 되었을때는 소량으로 생명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또한 생명체의 면역력이 강한경우에는 바이러스가 증식하지 못하고 궤멸되기도 합니다. 잠복기란 바이러스가 생명체의 세포에 침투하여 생명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수 있을만큼 증식하는 기간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바이러스가 잠복기가 있는 이유는 바이러스 생존을 위해서 입니다.

    바이러스의 특징은 스스로 살아가지 못하는 것이고,

    숙주를 옮겨다니면서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초기에 숙주를 만나면 바이러스는 극소량일 것인데,

    이때 증식이란 과정을 통해 바이러스의 몸이 여러개로 복제가 됩니다.

    이때 바이러스는 복제에만 집중하고, 이것을 잠복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잠복기인 것은 바이러스가 복제하고 있어서 생존을 위해 그들이 애쓰고 있는 순간입니다. 그래서 숙주의 면역체계와 싸우고 있어 전염이 안되지만 복제가 끝나면 다른 숙주로도 전염을 하기 시작하고 잠복이 끝나는 순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가 잠복기를 갖는 이유는 숙주내에서 증식하여 자기 몸을 복제하고 있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기간에는 숙주 밖으로 나가지 못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타인에게 퍼지지 않는 기간입니다. 또한, 잠복기에는 바이러스가 면역세포와 싸우며 증식하는데 면역력이 강한사람일수록 잠복기가 길고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잠복기가 짧은 특징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증식이 끝나면 숙주 밖으로 나가기 위해 기침이 나도록합니다. 기침을 통해 외부로 나가 다른 숙주로 옮겨가 다시 증식을 시작하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바이러스의 감염이 확산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