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와 대화를 할때 어떤식으로 공감을 해줘야 할까요?

아이가 요즘 제 말에 상처를 많이 받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객관적으로 이야기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제 말에 아이가 상처를 받는 듯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할때 어떤식으로 공감을 해줘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와 대화를 할 때 어떤 식으로 공감을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먼저 감정을 읽어주고 말보다 표정과 눈빛이 먼저입니다.

    비판보다 공감이 먼저, 감정 언어를 사용합니다.

    해결보다 함께 있어주는 태도가 공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이의 시선으로 아이를 바라보고 아이의 마음을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며 이해를 해야 한다 라는 것입니다.

    또한 권위적이고 강압적인 나 대화법 보다는 나를 너를 충분히 이해하고 너의 이야기를 깊이 들어 줄 자세가 되어 있어 라는 너 대화법으로 대화를 하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즉,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를 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감정을 "너가 이러한 부분이 힘들었구나, 엄마.아빠가 너의 힘든 부분을 이해하지 못해 정말 미안해" 라는

    말을 전달하면서 아이의 힘든 부분을 먼저 이해하고 그 감정을 공감해 준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와 대화할 때에는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들어주는 게 중요합니다.

    "그럴 수 있구나." " 속상했겠다."처럼,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 주세요.

    객관적인 사실 전달보다 아이의 마음을 먼저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인다면, 상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대화를 나누고는 칭찬과 격려로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 아이와 대화할 때는 사실 '내용'보다 '느낌'을 먼저 받아주는 게 훨씬 중요해요. 우리는 '그건 네가 잘못했어' 같은 객관적인 말로 정리하려 하지만, 아이는 그 순간 자기 감정이 이해받지 못했다고 느껴 상처를 받는 거예요. 그래서 먼저 '그랬구나, 속상했겠다'처럼 감정을 인정해주는 말부터 해주면 아이 마음이 한결 풀려요. 그 다음에야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하고 해결 방향을 같이 이야기하는 게 좋아요. 이렇게만 해도 아이는 '내가 존중 받고 있구나'느끼며넛 상처 대신 신회를 쌓게 돼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대화할 때는 단순히 사실 전달보다 감정을 먼저 인정하고 받아주는 공감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그렇게 느꼈구나, 속상했겠다'처럼 아이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 주세요. 비판이나 해결책보다 아이의 마음을 먼저 들어주고 이해한다는 신호를 주면 상처를 줄이고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