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차트에서 5일선 20 60 120 이게 지지선역활을 하나요 그냥 봉이 지나간걸 선으로 연결한거 뿐인가요
주식차트에서 5일선 20 60 120 이게 지지선역활을 하나요 그냥 봉이 지나간걸 선으로 연결한거 뿐인가요
기분분석하고 차트도 보는데 선들이 지지선역활을 하는지를 잘모르겠어요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그냥 연결선인데 어쩐지 그선을 아래꼬리 달고 올라오는게 눈에 보여서 꼭 지지선같이 보여서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러한 5, 20, 60, 120일선과 같은 경우에는
이동평균선으로 지지선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은 주가의 이동선을 표시한것에 불과하며 지지선의 역할을 하는 것은 특정 가격대에 많은 매매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가격대가 저항선 혹은 지지선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큰 의미는 없습니다. 말그대로 지지선이긴 한데 그냥 선에 불구합니다. 큰 의미 안두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차트에서 사용되는 이동평균선(MA)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5일선, 20일선, 60일선, 120일선 등은 각각 5일, 20일, 60일, 120일간의 주가 평균을 나타냅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단기, 중기, 장기 추세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며, 매매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로도 활용되곤 합니다.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적 영향
- 많은 투자자들이 이동평균선을 중요한 기술적 지표로 인식하고 있음
- 주가가 이동평균선에 접근하면 투자자들의 매수 또는 매도 심리가 발동함
2. 자기실현적 예언 효과
-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이나 저항선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상이 시장에 반영되어 실제로 그렇게 작용하는 경향
하지만 이동평균선이 항상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뚫고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도 많이 있죠. 특히 강세장이나 약세장에서는 추세를 따라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멀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어디까지나 하나의 기술적 지표일 뿐, 주가 움직임을 100% 예측할 수 있는 도구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차트 분석 시에는 이동평균선과 더불어 거래량, 보조지표, 주가 패턴 등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또한 차트에만 의존하지 않고 기업 실적, 경제 상황 등 기본적 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