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부마모증으로 레진치료를 받았을때
치경부마모증으로 레진치료를 받았을때 레진이 떨어지면 무조건 다시 레진으로 때워야하나요? 아니면 gi로 받을 수 있나요?
그리고 레진은 독성때문에 치경부에 떼우면 잇몸이 내려간다는데 gi는 그럴일 없나요?
그렇다면 gi가 치경부마모증에는 더 좋은거 아닌가요?
참고로 어금니들이어서 심미적으로 티나는건 전혀 상관없습니다.
추가로 치경부마모증으로 레진치료 1달이 넘었는데 표면이 매끈하지가 않은데 이거 치과에 가서 다시 다듬어야하는 부분인가요?
그렇다면 레진치료 받은 치과에 가야하나요? 아님 다른치과에 가서 받아도 되나요? 레진이 제 치아색이랑 완전 동일한데 의사쌤이 구분하실 수 있나요?
치경부 레진치료 받고난 1주일 후에 울퉁불퉁해서 다듬었는데 여전히 단차가 좀 느껴집니다. 1주일후 다듬을때 의사쌤이 본인이 볼때는 안다듬어진 곳이 어딘지 잘 안보이고 만져볼수도 없어서 최선이라고 하던데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경부 마모증으로 레진으로 충전한 후 탈락이 되면 GI로 충전을 할 수 있습니다. 레진은 충전을 했을 경우 독성이 없기 때문에 잇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마모증을 메꾸고 난 다음에 거칠은 부위가 있다면 해당 부위를 가볍게 다듬어 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준범 치과의사입니다.
무조건 레진으로 다시 때울 필요는 없고 GI로 재수복하셔도 됩니다.
레진의 독성 때문에 잇몸이 내려간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레진이 접착도 잘되어 비교적 유지가 잘되고 강도도 gi에 비해 우수합니다. 또한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gi에 비해 선호되지만 gi는 보험이 되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gi를 선호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미 한번 조정 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그런 것이라면 치료를 받았던 치과에 가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치과에서 조정을 받고 이후에도 계속해서 불편감이 발생할 경우에 책임의 소재가 불분명해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를 받았던 치과에 가시는 것이 좋고 거울을 보시면서 정확히 어떤 부위가 불편한지 체크해서 병원에 내원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본인 원하는대로 하면 됩니다. gi로 해도 됩니다.
레진도 그럴일은 없습니다. 레진으로 할때 잇몸에 레진을 파묻지 않는 이상... 재료 관련 독성은 gi보단 레진이 심하긴 합니다.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다듬으세요. 다른 치과가면 추가로 또 처치 비용에 대한 돈을 내야죠. 원래 치료했던 치과 가세요. 레진과 치아는 구분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