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운전할때 신호등 정차시 기어를 중립으로하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D에넣고 기다리는것이 좋은지 의견 바랍니다.
자동차 운전시 신호등 빨간불이 들어올때 정차시 자동차 기어를 중립으로 하는것이 좋은지 아니면 D에넣고 기다리면 좋은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신호등 대기 중에는 차량의 기어를 중립(N)에 두는 것이 연비 효율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이는 차량이 주행 상태가 아닌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연료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어를 중립에 두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발생하는 마찰력이 줄어들어 제동력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나 디스크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 정차 시마다 D가 아닌 N단에 놓게 되면 차량부품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D에 놓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도 처음에 어른들에게 운전 배울 땐 N단에 놓으면 좋다고 배웠는데 찾아보니 아니더라구요;;
드라이브로 넣으세요
중립으로 넣어봐야 그 짧은 신호대기 시간에 변속기만 더 망가뜨리는결과 입니다.
중립 넣어봐야 신호대기중 차 조용해지는 효과만 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중립에 놓는편입니다.
그러나 중립에서 드라이브로 변경 하고난 뒤에 악셀링하는 타이밍을 더디게 잡습니다.
뒤에서 빵빵거릴정도로요.
미리 드라이브로 바꾸고 신호바뀌면 출발하기도하고요.
오래걸리는 신호대기는 중립에 놓고 대기하는 편입니다.
기어가 중립(N)일 경우, 드라이브(D)에 놓았을때 보다 연료 절약 및 대기 오염물질 배출이 상대적으로 감소합니다. 하지만, N-D 잦은 기어 변속은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어 기어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운전 스킬에 따라서 오르막 내리막에서 신호대기 중 차가 미끄러질 수도 있으며 신호 변경 시 N에서 D로 바꾼 후 가속 페달을 밟을 경우, 급발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리하면
1. 중립(N)으로 바꾸지 않으면 기름이 미세하게 더 소비됩니다.
2.중립(N)으로 바꿔서 기름을 아끼지만 기어를 바꾸면서 해당 부품에 무리가 생겨서 결국 수리할 시기가 더 빨리 다가옵니다.
그러므로 결론은 똑같다 입니다. 그러니 짧게 대기하거나 경사로 라면 드라이브(D)를 유지하시고, 정체가 길어지면 중립(N)으로 바꾸시길 권해드리지만, 가급적 안전을 위해서는 드라이브(D)로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차량에 오토홀드나 ISG가 있다면 아무런 고민 없이 드라이브(D)에 놓고 주행하시면 됩니다.
'D' drive에 그대로 놔두고 브레이크만 가볍게 밥고 있는 것이 좋더라구요. 전에 기름 아낀다고 신호 대기시 기어를 중립으로 놓은 적이 있는데 출발 할 때 기어 변속을 잊어버려 당황한적이 있습니다.
비가내리는날에 커피한잔싀여유입니다.자동차 운전할때 신호등 정차시 기어를 중립으로 넣는것보다 드라이브로 넣고 브레이크 밞고있는것이 좋습니다. 기서변속시 이거물림이 변경할시 계속 갈아먹기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안하는것이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차입장에서 보면 동력을 주지않는 N 중립기어가 확실히 낫습니다. 요즘차들 정차시 시동꺼짐 차량도 많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