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격증 공부중 꿀팁 하나가 기억나지 않습니다.
3,4,5
6,8,10
이런거 있잖아여
그래서 6,8 나오면 10으로 하고 그랬는데
저 숫자들이 패턴이 꽤 많았거든요 그것도 기억안나고
어떤경우에 쓰는건지도 궁금합니다!! 전기기능사,산업기사등 시험기준!!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합성 임피던스 구하는것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3, 4 = 5
6, 8 = 10
위의 내용을 응용해 복소수 절댓값, 전류의 크기는 몇 A인가, 회로의 임피던스, 병렬회로 의 임피던스, RC 직렬회로, RL 직렬회로 등 다양한 시험문제가 출제되고 있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분이 말씀하신 숫자 패턴은 아마도 피타고라스 정리에 근간을 둔 전류, 전압, 저항 등의 계산법을 쉽게 기억하기 위한 방법일 겁니다. 예를 들어, 저항 값이 주어졌을 때 3, 4, 5나 6, 8, 10과 같은 삼각수를 사용하면 오옴의 법칙 등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는 효율적인 툴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패턴은 각 도형의 물리적 속성에서 자주 나타나고, 회로 설계나 실무에서 유용하게 쓰입니다. 패턴은 단순한 숙지보다는 다양한 예제를 통해 자연스럽게 몸에 익히는 것 추천합니다. 저항, 전압, 전류 등의 변환식을 다시 검토하면서 위 숫자들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실제 문제에서 응용해 보면 좋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도저히 떠오르는 것이 없는데요 1차 측과 2차측 회로 같은데 당장 떠오르는 거는 변압기입니다 그리고 1차 2차에 결선 방법으로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