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고귀한거북이194
고귀한거북이19423.01.12

비누거품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마른손으로 문지르면 비누 거품은 나지 않는데

물을 묻힌 손으로 문지르면 비누거품이 잘 나잖아요?

물과 비누가 무슨 관계가 있길래 거품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에 포함된 계면활성제 때문입니다.

    비누의 주성분인 계면활성제에서 친수성 부분은 거품벽인 물을 향하고 소수성 부분은 공기를 향해 거품이 됩니다.

    그래서 물이 없는 상황에서는 거품을 만들 수 없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 들어간 공기 때문입니다.

    그냥 두면 생기지 않죠. 비눗물을 손으로 휘저어 주거나 빨대 등으로 바람을 불어넣어 주면 생깁니다. 손으로 젓거나 바람을 불어넣으면 물 속에 공기가 들어가는데 맹물이라면 점성(끈적함)이 없으니 공기가 그냥 빠져나오지만 비눗물은 공기가 그 속에 같혀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더불어 비눗방울의 모양이 원형인 이유는 표면장력때문입니다. 고체처럼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닌 유동성이 있는 모든 물체는 표면적을 최소화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표면적이 제일 작은 모양은 구형이므로 방울 보양이 생기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2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누가 거품이 일어나는 원리는 기름과 친한 성분인 친유기와 물과 친한 성분인 친수기가 작용하여 물에서 문지르게 되면 비누 분자들이 공기에 둘러싸이게 되고 거품이 생깁니다..

    그러나 센물(hard water)에는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되는데 이는 Ca 이온과 Mg 이온이 녹아 있기 때문이며 비누의 용해도가 떨어지면 찬물에서 풍부한 거품이 발생되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