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감바스가 세상에서 제일로 좋아
감바스가 세상에서 제일로 좋아23.02.22

저항과 전하량 보존의 법칙에 대해서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면 전자가 저항을 지날 때 계속 전류(도선에 한 점을 찍었을 때 그 점을 1초 동안 통과하는 전자의 개수)가 일정하게 되는데 저항에 원자(원자핵)이 다른 도선에 원자보다 더 많으면 그만큼 원자핵 수가 더 많아 도선이 좁아져 지나 갈 수 있는 전자의 수가 적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요? 어떻게 저항을 지날 때에도 전류가 일정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하량 보존의 법칙(Conservation of Charge)은 전하의 양이 변하지 않는 물리 법칙을 말합니다. 이 법칙은 전하가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고, 단지 전하의 이동이 일어날 뿐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전하란 전자(electron)와 양자(positive charge)가 갖는 물리적 성질이며, 전하량은 쿨롱(Coulomb) 단위로 측정됩니다. 전하량 보존의 법칙은 전하의 양이 보존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하의 양은 어떤 물질이나 시스템에서 변하지 않습니다.

    또 전하는 원자핵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전자를 말합니다. 원자핵의 밀도가 높다고 이동이 막히는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