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같은 지역은행에 예금할때 봐야하는게 있나요?
1금융권처럼 큰 은행들은 괜찮을것 같은데 새마을금고나 신협에 예금을 하기는 약간 두려워서요.
찾아보니 해당 지점의 안정성에 대한 지표가 있던데 무엇을 참고해야할지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새마을금고나 농협의 경우 지역 단위 조합으로 사업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자칫 예적금이 묶일 가능성도 있으니 해당 단위조합에 가입하여 예적금을 불입한다면 반드시 해당 단위조합의 건전성을 체크하셔야 합니다. - 다만, 중앙 단위의 새마음금고 중앙이나 농협은행 예적금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은행의 안정성 지표는 자기자본 비율인 BIS비율로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며, BIS비율 이외의 경우 유동성 지표와 자산건전성 지표를 한번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새마을금고의 경우에는 해당 지점 사업자의 BIS비율을 따로 확인을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새마을금고의 경우는 결국 '지점별'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보니 이러한 비율을 확인하더라도 하나의 큰 연체가 발생하게 되면 부실화될 우려가 높아지게 됩니다. 다만 그래도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확인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 BIS비율 최소한 8%이상 
- 순자본비율 4%이상 확인 
- 연체대출금 현황 2%이하 
- 유동성 비율 100%이상 
 - 이러한 내용 확인은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 접속하시게 되면 각 지점별로 별도의 공시가 있어 해당 공시를 보시게 되면 확인이 가능하시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해당 은행의 자본 등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는 - BIS 자기자본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 유동성비율 등을 - 고려하셔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