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입문에 대해 질문합니다. 어떤 것을 먼저 시작해보면좋을까요?
재테크 입문에 대해 질문합니다.
어떤 것을 먼저 시작해보면 좋을까요?
단계적 설명이나, 앞으로 가야할 방향에 대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재테크 입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재테크를 처음 해보시는 분이라면 반드시 저는
적금을 1년 동안 해서 만기를 채워보실 것을
권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복리 효과와 장기 투자의 힘을 활용하려면 지금 당장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지력에 의존하지 말고 시스템을 만들어 자동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는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우선 지출에 대해서 명확히 파악하시고 고정비와 변동비의 상세분석과 지출분석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후 고정비 지출의 비중을 우선 줄이시고 그다음 변동비의 지출을 줄이신다음 소득대비 저축과 투자비중을 50%가까이 이상 늘리것을 목표로 가시기 바랍니다.
이후 월 생활비의 6개월정도는 비상통장으로 즉 파킹통장에 넣어두시고 절대 투자는 하지 마시며 고금리 부채는 바로 상환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포트폴리오 투자를 본격적으로 가시되 우선은 IRP계좌나 ISA계좌등 비과세 계좌나 세액공제계좌를 우선적으로 가입후 활용하시고 그리고 우선은 개별주식보다는 지수형 ETF나 특정 섹터형 ETF나 배당성장주의 ETF를 우선적으로 편입하여 위험자산 비중을 70%정도를 늘리셔서 투자포트폴리오를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 달 동안 얼마를 벌고, 얼마를 쓰는지 정확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계부 앱이나 스프레드 시트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내가 가진 자산과 부채를 모두 정리해 보시기 바랍니다. 왜 재테크를 하려고 하는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1년 안에 500만 원 모으기'또는 '결혼 자금 5000만 원 모으기'처럼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동기 부여가 됩니다.
재테크의 기본은 수입이 지출보다 많게 만드는 것입니다.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돈과 변동비를 나눠서 예산을 세우고, 이를 지키려 노력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재테크를 막 시작한다면 거창한 거보단 작은 습관부터 잡는 게 낫습니다. 통상적으로는 지출 관리와 비상자금 마련이 먼저라고 보입니다. 생활비에서 얼마를 떼어내 적금이나 CMA 계좌에 쌓아두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실 주식이나 펀드 같은 건 나중에 해도 늦지 않죠. 다만 시장 흐름을 익히고 싶다면 소액으로 ETF를 경험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뭐랄까 투자라는 게 큰돈 불리기보다 생활 리듬을 바꾸는 과정 같기도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연금저축이나 IRP도 고려할 만하다고 평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