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들 말만 믿으려고 하는 이유는 어떤 심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유아교육기관에서 아이들 간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신의 아이들 말만 옳다고 여길 때가 있습니다.
이는 어떤 심리라고 할 수 있을까요?
모든 부모가 자기 아이들 말만 믿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아이 말만 옳다고 여기는 부모의 심리는
과도한 보호 본능, 자신감 부족, 아이에 대한 과도한 기대, 사회적 비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결을 위해서는 객관적 시각을 유지하고 아이와 지속적으로 대화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보통 아이들의 문제적 상황이 생기면
내 아이의 말만 믿고 다른 사람의 말은 전혀 들으려고 하지 않고 믿으려고 하지 않는 이유는
팔은 안으로 굽어서 입니다.
고로, 방어적 심리가 강해서 입니다.
내 아이 이다 보니 내 아이를 지키고자 하는 마음이 크기 때문으로
즉, 내 아이 이다 보니 내 아이에게 집중을 하게 되고, 내. 아이만 감싸 안을 수밖에 없는 부분이 가장 큽니다.
중요한 것은 상황적 문제 에서는 그 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와 내 아이와 상대 아이의 잘못된 부분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본 후 전후사정을 논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다칠까, 혹은 부모로서 잘못한 것처럼 보일까 걱정을 해서 방어적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땐 감정부터 다독이고 객관적인 사실을 함꼐 살피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가 자신의 아이말만 믿으려는 것은 내 아이를 보호하고 싶은 본능과 내 아이는 선하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또 아이를 통해 자신의 양육을 평가받는다는 무의식적 심리도 작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가장 큰 이유는 보호 본능과 감정적 동일시입니다
부모는 자녀를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로 여기며, 아이가 상처받거나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느껴질 때 본능적으로 아이의 임장을 먼저 지지하고 보호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의 말이 다소 과장되었거나 일부만을 전달했을 가능성을 의식하면서도 감정적으로는
아이편을 드는 쪽을 택하게 됩니다
이는 아이에 대한 신뢰뿐 아니라 자녀의 감정을 부정하거나 외면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피하려는 심리도 작용합니다
그리고 부모 자신의 정체성과 자녀의 행동을 연결짓는 경향입니다
많은 부모는 자녀의 말과 행동을 자신의 양육방식과 인격의 반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자녀가 누군가와 갈등을 겪었을 때 자녀가 가해자로 보이게되면 곧 자신도 부정당하거나 공격받는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사실, 자신의 아이가 거짓말을 하지 않을 거라는 믿음, 그리고 집에서 보는 아이의 모습을 그대로 해석하고 바라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의도하지 않아도 사실을 왜곡하거나, 아니면 과장하는 경향이 있을 수도 있고 학교에서의 모습과 가정에서의 모습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아이의 말을 믿기보다는 여러 이야기를 들어보고 상황을 살펴보고, 판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