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친절한코끼리20
친절한코끼리20

르네상스 시대에 대하여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다보면

르네상스라는 말을 많이 듣게되는데

르네상스 시대가 어떤 시대이며 이런 개념에 대하여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르네상스는 14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운동입니다. 르네상스는 중세 암흑기에서 벗어나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을 재발견하고, 인간 중심의 사고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르네상스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의 재발견: 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 로마 문명을 재발견하여 중세 암흑기에서 벗어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로마의 문학, 예술, 철학을 연구하고, 그들의 생각을 유럽에 전파했습니다.


      인간 중심의 사고의 확립: 르네상스는 인간 중심의 사고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중세 시대에는 신 중심의 사고가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간의 이성과 능력을 강조하는 인간 중심의 사고가 확립되었습니다.


      과학의 발전: 르네상스는 과학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로마의 과학을 연구하고, 그들의 생각을 발전시켰습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에는 새로운 과학적 방법이 개발되어 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예술의 발전: 르네상스는 예술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가들은 고대 그리스, 로마의 예술을 연구하고, 그들의 생각을 발전시켰습니다. 또한, 르네상스 시대에는 새로운 예술적 방법이 개발되어 예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르네상스는 유럽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문화 운동입니다. 르네상스는 중세 암흑기에서 벗어나고, 인간 중심의 사고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르네상스는 과학과 예술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르네상스(Renaissance)는 재생 부활의 의미로 인본주의(인문주의, 인간주의)사상을 믜미합니다. 중세 신 중심의 사회에서 벗어나 다시 인간 중심사회로 되돌아가자는 복고주의 운동입니다. 에라스무스의 우신예찬 단테의 신곡 복카치외 데카멜론 등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르네상스는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적 예술적 부흥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르네상스라는 의미는 '재생'을 뜻하는 프랑스에서 유래했습니다. 르네상스는 예술, 문학, 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룬 시기입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톨릭 교회의 지배적인 영향력에서 인본주의, 즉 인간 중심으로 초점이 이동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작품의 특징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이 당시 활동했던 예술가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후반까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서유럽에서 일어난 문화계의 큰 변화이며 각 세기별에 따라 이탈리아어로 트레첸토(trecento, 300), 콰트로첸토(quattrocento, 400), 친퀘첸토(cinquecento, 500)라 부른다.


      르네상스의 기본적인 성격은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복원을 추구한다. 흔히 문예 부흥으로 번역된다. 용어 르네상스의 의미는 '재생', '부활'이며 그 어원은 조르조 바사리의 책 "예술가 열전(1550)"에서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작품을 해석하면서 그리스와 로마의 재림이라 하여 이탈리아어로 리나시타(rinascita, 부활)이라한 것이다.


      이것을 프랑스의 역사가였던 쥘 미슐레(1798~1874)가 '르네상스(Renaissance, 재탄생)'(re, 다시 + naissance, 탄생)으로 번역하고, 스위스의 역사가였던 야코프 부르크하르트가 확실하게 정의 내린 것이다(1860). 부르크하르트는 인문주의자들이 신이 모든 것의 중심인 기독교의 신본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이 모든 것의 척도였던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시절로 회귀하려 한 운동, 즉 인문주의(humanism)이라고 해석했다. 다만 르네상스식 인문주의가 '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인간'을 의미한다는 해석에는 오늘날 많은 반론이 쌓여있다.


      현대에는 전성기(특히 중흥기)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역사가들이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암흑시대에 있던 서유럽의 문화가 카롤루스 대제의 통치기에 재부흥한 것을 카롤루스 르네상스라 칭한 것이 대표 예시이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14~16세기 시기에 일어난 유럽의 문예 부흥 운동을 뜻한다.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신생' 혹은 '재생'을 의미하는데, 이는 중세를 부정하고 중세 이전의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로의 회귀, 즉 고대 문명의 부활을 뜻한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문예 분야에 국한된 것만이 아니라 정치·경제·문화·종교 등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일어났다. 르네상스는 처음에는 14세기경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전개되다가 16세기 중반부터 알프스를 넘어 프랑스·영국·독일 등 북부 지역으로 전파되어 근대 유럽 문화의 바탕을 형성하였다.


      이탈리아의 르네상스는 주로 귀족이나 부유한 상류층 계급에 의해 문예 분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북유럽의 르네상스는 지적이고 비판적이며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종교 분야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종교개혁과 연결되었다. 최초의 인문주의자로 평가받고 있는 페트라르카는 중세를 인간의 개성이 억압된 '암흑의 시대'로 보아, 고전 학문을 부흥시켜 문화의 절정기를 이룬 고대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고대를 문화가 꽃핀 절정기로 본 것과 반대로, 중세를 인간성이 철저히 무시되어 발현될 수 없었던 암흑의 시대라고 보았다.


      그리하여 인류 문명을 다시 부흥시키기 위해서는 고전 학문의 부흥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페트라르카의 이러한 생각은 당시 인문주의자들 역시 가지고 있었던 확신이었으며, 이들은 르네상스를 통해 단순한 라틴 학문의 부흥만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인간성 회복, 즉 인간의 지적(知的)·창조적 힘을 다시 부흥시키려는 꿈을 꾸고 있었다. 르네상스에 대한 해석은 부르크하르트에 의해 확고해졌는데, 그는 1860년에 발표한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문화>를 통해 르네상스를 하나의 '시대'로 해석하여 지금까지의 르네상스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부르크하르트는 르네상스와 중세를 완전히 대립된 시대로 파악하였고, 근세의 시작은 중세로부터가 아닌 고대로부터라는 주장까지 하였으며, 중세를 혹평하여 지극히 정체된 어두운 암흑의 시대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이러한 부르크하르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는 연구가 등장하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르네상스의 싹은 고대에서 찾을 수 없으므로 중세에서 찾아야 하며, 르네상스를 근대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내용의 주장이었다.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윤리 용어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