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경우 ai 추적 기능을 쓸 가능성이 높죠?
한 고등학생이 sns에 게시글로 본인이 나오는 음란물을 팔겠다고 해서 경찰이 검거 후 영상을 확인해보니 얼굴이 나오지 않아 진짜 고등학생 본인이 나오는 영상인지 알기 힘들 때 다른 사이트에 있는 영상을 다운 받거나 녹화해서 판 가능성이 있으니까 Ai 영상 분석으로 캐시등을 분석해 이미 음란물 사이트에 올라왔는지를 검토해서 출처를 조사 할 가능성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경찰이나 수사기관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서 출처를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상 속 인물이 실제인지 유통된 영상인지 등을 디지털 포렌식과 AI 유사도 분석, 메타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검증한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경찰은 영상 속 인물이 실제 피의자인지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 다른 사이트에서 이미 유통된 영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과 영상 출처 조사에 집중합니다 이 과정에서 해시값 메타데이터 파일 특성 등을 비교하고 필요시 인공지능 기반 영상 유사도 분석 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올라온 영상과 동일한지 판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출처 확인을 위해 이런 방식의 수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아마도 그렇겠죠.
AI추적을 통해 좀더 높은 성과를 추구할거 같아요. 결국 추적시 캐치할 확률을 높여서 검거율을 높이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ai 기반 영상 분석이나 추적 기술은 실제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에 얼굴이 나오지 않아도 메타 데이터나 프레임 특징, 압축패턴, 워터마크, 캐시 흔적 등을 통해 출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촬영한 영상 이라도 다른 사이트에 유통된 영상일 수 있어 진위 검증과 불법 유통 경로를 기본적으로 조사 진행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sns로 이러한 문제가 될 영상 이나 자료를 올리게 될 경우 경찰은 관련 ip를 통해서 수사를 실시합니다. 다만 최근에 개발중인 인공지능을 활용할 경우 보다 정확성 있는 수사가 될 수 있으며, 정확도가 높다고 한다면 수사가 보다 진척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것은 점차적으로 활용성이 높으며 딥러닝을 활용한 범죄나 또는 반대로 범죄를 해결하는 목적으로도 활용이 되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