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시 황반변성 조짐이 있다고 하고 안과에서는 6가지 검사가 다 정상인데 안과가 더 정확한 거겠죠?
건강검진 시 시력 테스트를 하는데, 눈 시력도 1.2/1.5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안과에서 시력검사 한 결과는 양쪽 다 1.0으로 나오더라구요. 건강검진 시 받는 시력검사 및 안검사는 대충대충하는 느낌이 있더라구요.
무슨 질환 여부를 알고 싶으면 전문의한테 가는 게 보다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거죠?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건강검진과 안과의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안과 전문의의 검사가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강검진 시의 시력 검사는 간략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안과에서는 보다 정밀한 장비를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눈의 상태를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황반변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는 안과에서의 정밀 검사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48세 여성으로 비만과 당뇨 기저질환이 있으시다면, 황반변성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과에서 6가지 검사 모두 정상으로 나왔더라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눈 건강을 꾸준히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향후에도 시력 변화나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즉시 안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건강검진과 안과의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와 혼란스러우실 것 같습니다. 건강검진의 검사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확인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대략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안과에서는 보다 정밀하고 집중적으로 눈 상태를 살피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황반변성과 같은 질환은 정밀한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과의 정밀 검사가 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력 검사 결과가 건강검진과 안과에서 다르게 나온 것도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검사 환경이나 방법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건강검진은 대체로 일반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안과에서는 보다 전문화된 장비와 환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특정 질환이나 보다 정밀한 검사 결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의가 있는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이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도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건강검진에서 황반변성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안과에서 진료를 받고 나서 문제가 없다고 하였으면 후자의 결과를 받으들이시면 됩니다.
건강검진은 어디까지나 선별검사이며 이상유무 혹은 가능성의 유무를 이야기하는 것이니까요
그걸 떠나서 환자분의 경우 당뇨가 있으시기 때문에 안과에 적어도 1년에 한번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당뇨의 경우 눈에 합병증이 있을 수 있는데 당뇨병성망막증이라고 하며 당뇨환자에서 많이 발병합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률은 유병 기간이 5년 이하인 경우 발병률이 약 29% 정도지만,
15년 이상인 경우 78%로 증가하며 당뇨병 경력이 30년 또는 그 이상인 환자의 약 90%에게서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건강검진에서 황반변성의 조짐이 있다고 들으셨다면, 그 결과는 일종의 예방적 검사로 보셔야 합니다. 건강검진에서 시력 테스트는 기본적인 시각 검사를 위한 것이라, 보다 세밀한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안과 전문의를 찾아가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안과에서 받은 검사 결과가 1.0으로 나온 것은 정상 범위 내 시력이나, 시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추가적인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건강검진에서 시행되는 시력 검사는 일반적으로 간단한 테스트로, 정확한 시력 상태나 눈 건강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안과에서 진행하는 정밀 검사는 더 세밀하게 눈의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안과 검사가 더 신뢰할 수 있죠
황반변성 같은 질환은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검진에서 발견된 조짐은 경고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