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깜찍한줄나비33
깜찍한줄나비33

출산했습니다 신생아에대해서 궁금해요

이지 3주정도된 신생아가 언제쯤이면 밤에 깨지않고 잠을 계속잘수있을까요? 그리고 안아주지않으면 계속 우는데 이유는 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2달 정도가 지나면 이때부터 통잠을 잘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시기는 30~60일, 4~5시간입니다.

    통잠을 자는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60~90일에는 5~6시간이며,

    90~120일 6~8시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신생아는 아직 수면 주기가 불안정하고 소화기관이 발달하지 않아 자주 깨고 울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2-3개월 정도 지나면 수면 주기가 안정되기 시작하면서 밤에 깨는 횟수가 줄어들 수 있지만 아기마다 개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성장 과정에서 다시 변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기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배가 고프거나 기저귀가 젖었거나, 불편함이나 불안감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아주는 것이 울음을 그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매번 안아주면 습관이 되어 의존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처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기의 수면 주기는 부모님의 생활 리듬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기가 깨어있을 때 충분히 놀아주고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를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됐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는 생후50일정도까지는 밤,낮을 구분못하기에 자주 깨어나지요. 그리고 아기가 통잠을 자게되는것은 각각의 아기들마다 모두 다 다릅니다. 보통,평균적이라는게 없답니다. 100일의 기적이라는 말이 있지만 확률적으로 하는 이야기라서.. 다만 시간이 갈수록 자는 시간이 길어지는게 정상입니다. 우리 아기가 하루빨리 통잠을 자기를 바랍니다. 힘내셔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통잠을 자는 시기가 다 다릅니다 따라서 이를 언제라고 표현할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특히나 아이들의 경우에는 말씀하신대로 안아주지 않으면 우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는 우리 아이가 엄마 뱃속에서 약 10개월 정도 있었기 때문에 엄마의 심장소리나 자궁소리가 없으면 아이는 불안정한 상태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아주면 바로 안정을 찾고 아이들이 잠을 자고 가만히 있는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생아는 생후 3~4개월쯤까지는 밤낮이 없이 계속 울기도 하고 2시간마다 깨는 경우도 있습니다. 100일 정도가 지나면 괜찮아 지실거에요. 밤에 자주 깨는 것은 아직 수면 주기가 불규칙하기 때문입니다. 안아주지 않으면 우는 이유는 안정감을 느끼지 못하거나 배고픔, 불편함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수면패턴을 찾아가는 과정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구요. 먹이고 안아주시면서 시간을 두고 지켜보시길 바랍니다. 아이가 건강하고 지혜롭게 자라기를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1. 일반적으로 생후 3~6개월이 되면 몇 시간을 길게 자게 되지만, 이때도 몇 번 깰 수는 있어 아이마다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아이가 현재 부모님의 신체 접촉으로 안정감으로 느끼고 있기에 안아주지 않으면 계속 우는 것으로 생각이 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빈도가 줄어들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이후에 밤잠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완전히 깨지 않고 잠을 자는 것은 보통 6개월 이후입니다. 안아주지 않으면 우는 이유는 신생아가 부모의 품에서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부모의 따뜻한 접촉이 아기의 정서적 안정에 큰 도움이 되니 참고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들 마다 다른데요. 보통 100일의 기적이라고 부르는게 100일을 전후로 해서 통잠을 자는 아이들이 생깁니다.

    저희 아이 같은경우는 1년 넘도록 통잠을 못잤어요.

    그리고 신생아 같은 경우 안아주지 않고 눕혔을 경우 불편함을 느껴서 우는 거 일수 있습니다.

    신생아가 자주 울때는 신체적으로 불편함은 없는지, 배고픔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