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상처 치유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은 다치게 되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처가 치유되던데, 이렇게 인체가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상처가 나면 상처부위의 혈관이 좁아지면서
더이상의 출혈이 일어나지 않도록 돕습니다.
또한 면역세포와 지혈에 필요한 혈소판,
등이 도달하며 지혈과 면역직용을 시작합니다.
이후 출혈이 멈추고 병원균이 더이상 들어오지 않으면
세포와 조직이 재생되며 빈공간을 채우게됩니다.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먼저 상처가나면 염증반응이 시작되는데,
해당부위의 혈관이 수축해서 출혈을 줄이고
염증세포가 상처부위로 몰려든뒤
주변으로부터 면역세포를 불러들여
침임한 병원균들을 제거합니다.
이후 재생단계에서 새로운 세포와 조직을 만들고
세포외 기질인 콜라겐등이 이 부분을 채웁니다.상처 치유 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염증 단계입니다. 상처가 발생하면 혈관이 수축되어 출혈을 멈추고, 혈액 속의 혈소판과 백혈구가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세균 감염을 막고 손상된 조직을 제거합니다. 이 과정에서 붉고 부어오르며 통증을 느끼는 것은 염증 반응의 일부입니다.
두번째는 증식 단계입니다. 염증이 가라앉으면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고 상피세포가 증식하여 상처를 덮습니다. 또한, 섬유아세포라는 세포가 콜라겐을 생성하여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 상처를 채웁니다.
세번째는 성숙 단계로 새로 생성된 조직이 강화되고 재구성되는 단계입니다. 콜라겐 섬유가 재배열되면서 흉터가 형성되고, 혈관이 줄어들면서 상처 부위가 희게 변합니다.
마지막 네번째는 재생 단계로 흉터가 완전히 성숙하면서 피부의 기능이 회복되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완전한 재생은 어렵고, 대부분 흉터가 남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상처가 나면 피가 나지요. 이순간부터, 총 4단계의 과정을 거칩니다.
지혈과정(hemostasis) : 혈액응고 시스템이 작동하여, 혈병을 만들며 피가 더 나오지 않도록 됨.
염증(inflammatory phase) : 세균이나 균이 침입하게되면, 발적, 통증 등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혈관의 투과성이 커지면서 면역세포들이 우글우글 달려오게되고, 이것들을 포식하는 단계이지요. 염증은 나쁜것만이 아닌 우리 몸을 지키는 과정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이랍니다.
증식(proliferation): 섬유아세포등이 몰려와 콜라겐등을 분비하며 상처를 매울 준비를 하는 단계
재형성(remodeling): 손상된 표피 진피층이 회복되고, 혈관등이 다시 와서 정상구조를 재형성 하는 단계
대충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것 같아요.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상처 치유는 크게 네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로, 지혈 단계에서 손상된 혈관이 수축하고 혈소판이 응고되어 출혈이 멈춥니다. 두 번째, 염증 단계에서는 면역 세포가 모여 감염을 방지하고 손상된 조직을 제거합니다. 세 번째, 증식 단계에서는 새로운 조직과 혈관이 형성되어 상처가 메워집니다. 마지막으로, 재형성 단계에서 콜라겐이 축적되고 피부가 회복되며, 상처 부위가 점차 강해집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상처의 치유는 단순하게 정리를 하면 지혈, 염증, 증식, 성숙 순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