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시뻘건아나콘다214
시뻘건아나콘다21423.12.25

인대파열 치료가 어떻게 되나요?

나이
28
성별
남성

제가 알기론 파열당한 직후 더이상 인대를 쓰지못하게 반깁스로 고정시킨후 자연회복을 기다리는걸로 알구있는데,, 그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게 물리치료일까요?? 제가 물리치료 필요성을 못느끼고 자연치료해볼려구 집에서 휴식하면서 기다려봤거든요 ㅠㅠ 그런데 염증이 계속남아있는지 붓기가 어느정도에서 빠진후 붓고, 빠지기를 반복합니다.. 지금에서야 치료받으려 생각중인데, 본의 아니게 방치해서 수술까지 가게되는건 아닐까 싶어 너무 걱정됩니다.. 현재 6주~7주차 사이인데.. 붓기도 남아있고 가동 범위나 불편감 통증도 좀 남아있습니다. 오래 못걷구요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발목인대파열은 발목이 꼬이거나 발바닥이 안쪽으로 접질렸을 때 발생하는 인대 손상으로, 흔히 '발목이 삐었다'고 표현됩니다. 주로 발목 바깥쪽의 인대가 손상되며, 이로 인해 통증과 부종이 발생합니다. 발목 안쪽 인대는 매우 튼튼하므로 주로 바깥쪽 인대 중 2개에서 파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손상은 대개 경미하며 보존적인 치료로 완치될 수 있지만, 심한 염좌의 경우 수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여 근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목인대파열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접질린 발목 부위가 부어 오르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2. 발을 디딜 때 불안정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염좌가 심한 경우 부상 순간에 인대 파열 소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만성적인 경우 장기간 보행 시 발목 통증이 지속되고 일상 활동이 제약될 수 있습니다.

    발목인대파열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하거나 스포츠 활동 중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을 헛디뎌 꼬이거나 정상적인 움직임 범위를 벗어난 운동 동작이 발생할 때 위험합니다.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진단은 X-ray, CT, MRI 촬영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보조기 착용, 냉찜질을 통한 부종 및 통증 완화, 재활운동치료, 초음파 치료 등이 있습니다.

    • 발목을 접질렀을 때의 응급 처치로는 RICE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 원칙을 따릅니다. 이는 휴식, 얼음 찜질, 압박, 발목을 높여 두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심한 염좌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발목 해부학적 재건술이나 관절경을 이용한 발목인대봉합술이 고려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충분한 준비운동을 통해 근육을 늘린 후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발목을 헛디뎌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운동 후에도 근육을 풀어주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정형외과 방문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초기에는 인대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필요하면 초음파 등으로)

    정도에 따라 깁스로 추가 손상 방지 및 회복을 기다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깁스를 한 상태로 (혹은 제거하고)

    (경직된 근육이나 인대를 풀기위해) 물리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