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깁스와 통깁스의 차이가 궁금해요
발목뒷쪽 복사뼈에 금이가서 첨엔 반깁스하고 일주일 보냈는데 오늘 영상찍고서 통깁스해야한데요
통깁스하고 한달 후에는 금 간부분이 붙을까요?
따로 먹는 약처방도 없는데
통깁스의 효과?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얼마나 강하게 묶어두느냐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골절에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반깁스는 풀었다 묶을 수도 있고 통깁스에 비해 움직임이 유발될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니 상태에 따라 치료방법을 결정합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반깁스는 완벽하게 고정이 되지는 않습니다. 통깁스는 잘라내야하니 불편하기는 해도 뼈는 잘 붙지요.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반깁스는 골절부위에 받침을 대고 압박붕대로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통깁스는 석고를 이용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론
골절 초기에는 부종 / 통증 등으로 통깁스를 하기 힘들어서 , 반깁스를 사용하다가...
어느정도 통증이나 부종이 호전되면 , 그 때 부터 통깁스를 이용하여 손상 부위를 보호합니다
깁스는 손상부위를 보호한다는 목적이지 그 자체로 뼈가 붙게 하지는 않습니다
- 자연치유 동안 자극을 받아 다시 골절 부분이 악화? 되는 것을 막는 것이 목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다친부위(골절부위)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초기에는 붓기 때문에 흔히 반깁스라 알려진 splint를 시행하고 붓기가 조절되면 깁스라고 알려진 cast를 시행합니다.
골절부위에 따라 한달뒤에 골유합이 보일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반깁스는 주로 붓기를 가라앉히는 초기 치료 단계에서 사용되며, 깁스가 다리의 일부분만을 덮어 공기가 통하고 붓기가 가라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는 치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붓기에 대비하여 공간을 남겨두는 역할을 하며, 골절 부위를 일정 부분 고정시켜 초기 이동성을 제한함으로써 더 나은 치유 환경을 조성합니다.
반면, 통깁스는 골절 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통깁스는 주변 조직의 붓기가 가라앉은 후에 적용되며, 골절된 뼈가 정확한 위치에서 자연스럽게 붙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전체적으로 골절 부위를 둘러싸고 고정시킵니다. 이는 뼈가 올바른 방향과 정렬로 치유될 수 있도록 하여 잘못 붙는 것을 방지하고, 골절 부위를 움직임으로부터 보호합니다.
통깁스는 반깁스와 달리 완전하게 깁스를 통해서 고정을 하는 것이며, 그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환부의 자극 및 손상이 생길 위험이 줄어들고 회복에 더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