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의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 강화가 전세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HUG는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을 전세가액이 공시가액의 126%를 넘지 못하도록 강화했습니다. 이와 같은 조치가 전세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많은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50% 에서 126% 된것만 문제가 아니라 공시가격 자체도 많이 내려갔습니다.
작년까지 HUG 보증으로 3억 전세 가능하던 매물이 지금은 2억초반으로 해야 하는데 일반 임대인이 감당하기에는 그 갭이 꽤 큽니다.
아마도 빌라쪽은 올해 말로 갈수록 꽤 전세대란이 올것으로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이 높은 빌라나 오피스텔등에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거절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럴 경우 해당 매물에 대해 전세계약 자체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대다수 계약이 반전세, 월세계약으로 전환될 가능성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전세세입자를 받지 못한 매물들의 기존 전세세입자의 임차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악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사나 임차인에게는 더욱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나
임대인에게는 임대소득에 대한 위협이 될 것 입니다
주택가갹 하락에 따른 전세가의 동반 하락이 현실이되고
반전세나 월세 비중이 증가하도록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보험 가입하는 조건으로 전세가를 맞춰줄려면 임대인은 개인돈으로 차액의 보증금을 메꿔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여력이 되는사람은 괜찮지만, 여력이 안되는 사람은 매물을 또 시장에 내놓게 되고 이는 부동산 하방압력을 주는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오는 5월부터는 전세반환 보증보험가입기준이 선순위채권과 전세보증금을 더한 금액이 주택가격의 90%이하라야 합니다.
공시가격의 140%×90%로 전세가입기준을 낮추게 되면 오피스텔이나 다세대주택은 당연히 그 금액만큼 전세가격이 하락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아마도 주택가격이 하락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허그 보증보험의 가입기준이 강화되면 전세금은 더욱 하락할것이고 낮아진 전세금때문에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