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839건의 질문
- 증여세세금·세무Q. 2016년 2억6천 아파트 증여세 미신고걸리면 어떻게 되까요? 가산세? 과징금? 인천 비규제지역입니다 76년생 미혼 연봉 4천5백정도 20세부터 평생 일함 6억이하 이사하는데 불안하고 신경쓰여 지금 내면 얼마인지도 궁금합니다
-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Q. 대구 중학교 삼학년입니다 인문계 갈수있울까요 ㅠㅠ퍼센트 76프로인데 가능할까요 ㅠㅠㅠㅠ진짜 걱정돼요 쌤이 갈확률이 더높은데 못갈수도있다하셔서 ㅠㅠㅠ 인문계 갈수있을까요 호산고랑 다사고 일지망 이지망으로적을거에요
- 내과의료상담Q. 한달도 안되는 사이에 콜레스테롤,간수치가 너무 많이 상승했어요한달도 안되는 사이에 콜레스테롤,간수치가 너무 많이 상승했어요<10/26> T.chol:181 TG:95 HDL:62 LDL:100 AST/ALT:14/10<11/21> T.chol:252 TG:76 HDL:81 LDL:155 AST/ALT:29/361년 전 부터 갑상선기능저하증->씬지로이드 복용중6개월 전 부터 다이어트한약 복용중1개월 전 부터 추가로 영양제(판토텐산,이노시톨,비오틴,마그슘,기초영양소) 복용중입니다.증상,생활습관 변화 없고 주 3~4회 실내자전거 1시간,야식,기름진 음식 거의 먹지않으나 월3회 정도 음주추가 복용 중인 영양제+다이어트 한약 때문에 상승 할 수도 있을까요?만약에 영양제 때문이라면 감량해야 하는 약이 있을까요?
- 대출경제Q. HUG 전세자금대출 계약 연장 도중 임대인의 담보대출 질문드립니다.현재 2.2억의 전세 보증금으로 거주중입니다.여기서 1.76억은 HUG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고 나머지는 개인돈 입니다.계약만기 시점은 26년 3월이며, 약 1,100만원 정도 전세금 증액 후 계약 연장 예정입니다계약을 연장한다면 HUG 전세 대출도 연장해야하는데임대인분이 현재 제가 거주중인 매물을 담보로 2,750만원 정도를 대출 하였으며계약 연장시 지급하는 증액 전세금 1,100만원은 전부 담보대출을 상환하는데 사용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이렇게 될 경우 해당 물건에는 2.31억의 전세금과 1,650만원의 대출이 있는 상황이 됩니다.현재 시세는 KB 부동산 기준 약 2.6~2.8억으로 보입니다.이럴경우 HUG 전세대출 연장시 떨어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 교통사고법률Q. 중앙선이 없는 이면 도로에서 중앙을 넘어오는 차량과 마주오던 오토바이 충돌한 경우 누구의 책임이 더 큰가요?T자형 교차로에서 우회전 후 직진구 간으로 5m를 오토바이로 주행 중 마주오던 직진 차량과 충돌하였는데 도로폭이 7.6m인 이면도로이지만 양쪽에 불법주정차 되어 차량이동 공간이 협소 하였고 마주오던 차량의 운전자 앞바퀴가 폭 4m 지점에 우치해 있었는데요. 오토바이와 차량 누구의 과실이 더 큰가요?
- 영유아·아동 식단건강관리Q. 11개월 아기 이유식 안먹어요....37주6일에 2.56kg 태어나서 11개월인 지금 7.6kg 여아 예요.신생아때부터 분유도 정말정말 안먹는 아기였는데 이유식도 진짜....너무 할정도로 안먹어요.지금은 이이분이분 스케줄로 이유식 3번주는데한끼당..100도 안먹어요.. 분유는 120ml, 240ml 이렇게 두번 먹고요..안먹어서 그런지 변비도 있고.. 몸무게도 안늘어요..물도 잘 안먹고요현재 7시 기상7시 이유식110시-11시30분 낮잠12시 이유식2 2시 분유 120ml3시-4시 낮잠5시 이유식37시30분 분유240ml8시 수면이런스케줄인제.. 스케줄 조정이 필요할까요? 분유량은요?
- 이비인후과의료상담Q. 수면무호흡 증상 개선 위해 비중격교정술이 도움이 되려나요??현재 몸무게 82키로 정도 됩니다. (키 183)수면무호흡 증세가 중증이라고 판명받긴했는데,양압기 처방후 부작용(혈압 급상승)으로 양압기 치료는 불가한 상황입니다. 살을 빼서 75~76키로 정도로 빼면 수면무호흡 개선에 많이 도움이 되려나요??(결혼당시 10년전 75키로 였는데, 결혼 후 살이 많이 쪄서 82~85키로까지 쪘던 상황입니다.)2. 비중격이 많이 휘어있긴한데, 유산소운동(조깅 등)하는데 무리없는 정도였긴 합니다만 수면무호흡 개선을 위해 비중격 교정술(비염수술 포함)을 받는게 도움이 되려나요??전문의 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 해고·징계고용·노동Q. 징계 이의신청 기간 중 병가신청 시 불허할 수 있나요?후 그 결과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관련 고충처리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었습니다.고충처리심의위원회의 직장 내 괴롭힘 인정으로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5항에 근거하여 인사위원회 심의 의결을 통해 징계를 확정하였고, 해당 사실을 가해자인 징계대상자에게 통보를 한 상태입니다.규정 상 징계를 통보 받은 직원은 7일 이내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으며, 재단은 이의 신청이 접수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인사위원회의 재심의를 진행하고 재심의 결과에 따라 종결 처리되는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이와 같은 상황에서 아래와 같이 2가지를 질의 드리고자 합니다.첫 번째,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어 징계가 확정되어 통보를 받은 징계 대상자가 이의 신청기간 중 1개월 간의 병가를 신청한 경우 신청한 병가를 승인해 주어야 하는지? 승인을 할 경우 징계 관련 이의신청 기간은 정지가 되는 것인지? 각 상황에 따른 관련 근거는?두 번째, 징계가 확정된 인사위원회(1차 인사위원회)에 참석한 인원을 이의신청으로 인사위원회의 재심의(2차 인사위원회)가 이루어질 때, 징계대상자는 1차 인사회에 참석한 위원 중 일부를 제척위원으로 신청할 수 있는지? 재단 인사규정 또는 인사위원회 관련 내규 등에는 해당 사항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황으로 제척 신청이 가능하다면 그 관련 근거는 무엇인가요?고견을 부탁드립니다.
-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Q. [신장내과]GFR 사구체여과율 검사결과 문의드립니다.작년3월과 올해 2월 가려움증(피부묘기증)과 쿠싱질환 유무 관련으로 정밀검사를 받았는대 혈청크레아티닌농도 대비 사구체 여과율이 낮게 나와 걱정이 많습니다.정밀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진료과는 어디로 가야하는지, 의심되는 병명은 무엇인지 문의드립니다. 1년전쯤에도 검사한 BUN, Creatinine, estimated GFR 수치는 24년 2월 검사결과와 같습니다.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에서 크레아티아닌수치와 나이 성별을 넣고 신장기능을 조회했는대나의 신장기능(GFR)은 117 입니다.로 나왔습니다24년 2월 검사결과BUN 12.6 mg/dLCreatinine 0.79 mg/dLestimated GFR 60 ml/min/1.73 m2추가 검사결과처방명 처음.Cynacten inj 250mcg/1ml 투약내용 IV 1Amp (250mcg) 1회/d x 1days Remark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참고치Cor(basal) 11.6 ug/dl Cort(30분) 28.6 ug/dl Cort(60분) 32.1 ug/dl ACTH(00분) 34 pg/ml PTH 16 pg/ml 7-65 Glucose 107 mg/dL Ca 9.6 mg/dL In. Phosphorus 2.9 mg/dL Uric Acid 6.2 mg/dL T.protein 7.6 g/dl Albumin 4.9 g/dl T.bilirubin 0.6 mg/dL Alk.Phosphatase 60 U/L ALT(GPT) 20 U/L AST(GOT) 19 U/L T.Cholesterol 225 mg/dL T.G 140 mg/dL HDL-Cholesterol 42 mg/dL LDL-Cholesterol 155 mg/dL CTx 0.509 ng/dL P1NP 30.4 ng/dL PSA 0.71 ng/ml 0.00-4.00LH 3.6 mIU/ml 1.9-9.4FSH 4.4 mIU/ml 0.9-8.9Prolactin 5.8 ng/ml 3.0-18.8Testosteron 6.52 ng/ml 2.67-9.4025-OH-V.D 34.5 ng/ml 참고치 별도
- 약 복용약·영양제Q. 영양제 먹고 한달도 안돼서 간수치,콜레스테롤 수치가 급격하게 오를 수 있나요?한달도 안되는 사이에 콜레스테롤,간수치가 너무 많이 상승했어요<10/26> T.chol:181 TG:95 HDL:62 LDL:100 AST/ALT:14/10 TSH:1.2<11/21> T.chol:252 TG:76 HDL:81 LDL:155 AST/ALT:29/361년 전 부터 갑상선기능저하증->씬지로이드 복용중6개월 전 부터 다이어트한약 복용중1개월 전 부터 추가로 영양제(판토텐산,이노시톨,비오틴,마그슘,기초영양소) 복용중입니다.증상,생활습관 변화 없고 주 3~4회 실내자전거 1시간,야식,기름진 음식 거의 먹지않으나 월3회 정도 음주추가 복용 중인 영양제+다이어트 한약 때문에 상승 할 수도 있을까요?만약에 영양제 때문이라면 감량해야 하는 약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