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0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근로계약서 상 소정근로시간(주휴수당 표시) 질문이요상에 아래처럼 소정근로시간을 작성하였습니다.소정근로시간 : 270시간(주휴일 9시간은 유급으로 한다.)※(주54시간 + 주휴일8시간) x 52.14주 ÷ 12개월 = 270시간이렇게 작성하였는데 저기서 "주휴일 9시간은 유급으로 한다." 이 문구를 실제로 계산해서 주는 시간인 "주휴일8시간은 유급으로 한다" 로 변경하는게 맞을까요?아니면 실제 하루 근무 시간인 9시간 문구로 적는게 맞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고정OT와 포괄임금제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부탁드립니다.합니다.1. 포괄임금제, 고정OT제라는 용어 자체가 법률적인 단어인가요? 계약서에 명시해서 사용해도 되는 단어일까요??2. 저희는 지금 통상시급X1.5배X52시간으로 하고 있습니다. 연장 몇시간, 야간 몇시간, 휴일 몇시간 이렇게까지 상세히 기입할 수 있는 상황은 못됩니다. 포괄임금제와 고정OT제 정확한 차이 설명 부탁드립니다.저희는 일단 단순희 포괄임금제 보다는 고정 OT제로 사용하는것이 맞을까요??
- 저축성 보험보험Q. 자동차보험 갱신이 다가오는데 캐롯 어떻나요?알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평일 출퇴근 왕복 9km 주말 약 20km 탄다고 하였을때(9x5+20x2)x52주 =4420km로 매년 5000km이하(13년도 ray)를 끈다고 하였을때 가견적이 얼마정도 나올지 궁금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포괄임금제 운영중인데 주 52시간 어떻게 관리해야하나요?936시간 x 통상시급 = 주 12시간 x 52주 x 1.5 x 통상시급2) 취업규칙에서 유급휴일은 토요일, 일요일, 명절, 공휴일 등을 지정하고있습니다.위와 같은 경우 유급휴일인 연차 및 공휴일에 대한 8시간을 적용하게되어 근무시간이 총 247.1시간이 된다면, 주 평균 55.79시간이 되어 주 52시간이 초과되게 됩니다.3. 제 생각에는 주 연장 12시간이 포함된 포괄임금제로 연봉이 운영중이기 때문에 주 52시간 산정시에도 연차 & 공휴일 8시간을 포함하여 주 52시간 넘지 않도록 관리 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데 주 52시간은 포괄임금제와 상관없이 실근로시간 기준으로만 관리되어야 하나요?그렇게 된다면 임금구성상으로 계약된 시간보다 더 근로를 하게 되며, 추가된 근로에 대한 돈은 받지 못하게 될 경우도 발생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4. 또한, 1개월 근무시간 산정 시 어떤 방식으로 산정을 해야하는지도 문의드리겠습니다. (기본 31일 예시)1) 31일 전체로 산정할 경우 (31일 경우, 230시간 근무 가능)- 소정근로시간 : 31일 ÷ 7일 x 40시간 → 177.1시간- 연장 근로시간 : 31일 ÷ 7일 x 12시간 → 53.1시간 가능* 28일, 30일, 31일 근무시간 동일2) 평일(주중휴일)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매월 평일수에 따라 근무시간 변경)- 소정근로시간 : 23일(평일, 주중휴일 포함) x 8시간 → 184시간- 연장 근로시간 : 31일 ÷ 7일 x 12시간 → 53.1시간 가능* 매월 평일수에 따라 근무시간 변경위와 같은 포괄임금제일 경우, 2번 방식으로 산정해서 매월 소정근무시간이 변경된다고 생각되는데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게 맞을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임금명세서 교부 작성 질문드립니다오늘부터 임금명세서 교부가 의무라해서 작성중인데요주6일 7시간 근무로 최저시급 적용해서 급여 지급중입니다(주42시간 + 초과근무1시간 + 주휴수당7시간) x 52.14주 / 12개월 =217.25시간*초과근무1시간= 40시간 초과분(2시간X초과근로수당50%가산)218시간 x 8,720원= 1,900,960원/월 지급 중입니다이럴경우 임금명세서에 기본급은 얼마로 적어야 하는지그리고 연장근로수당과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해서 적ㅇㅓ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일7시간, 주6일 최저임금 월급이 어떻게 되나요?근무시간은 주6일 하루 7시간 이구요(야간x)5인미만 사업장근무요일 : 유동적(일주일에 하루 원하는 날짜에 휴무)휴게시간 : 1시간(주42시간+주휴7시간)x52.14주 /12개월 = 213시간213시간 x 8,720원 =1,857,360원이렇게 계산하는게 맞나요??
- 휴일·휴가고용·노동Q. 주 52시간 근로제 질문 악용의심회사52시간 근무에대해 질문 있습니다.현재 저희회사에서 주 52시간 근로제로 근무하고 있는데3개월 단위입니다.그런데 근로가용시간을 계산하는방법이3개월의 일수x52시간÷7로 계산하여 분기별로 676~690시간을 근무하고있는데요.이게 계산법이 맞나요?분기마다 공휴일도 있을것이고 휴일이있는데탄력근무제에는 공휴일이 없다고 근무시간을 못채우면 연차로빠집니다.이런 근로제도가 있는건가요?그리고 탄력근무제가 3달마다 초기화되어서 계속반복됩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최저시급 근로계약서 작성중인데 소정근로시간 계산식 제대로 한건가요?4인사업장이고 최저시급으로 급여 지급하고 있습니다내년 근로계약서 작성중인데 소정근로시간 계산이 맞을까요?주6일 9.5시간 근로이고(휴게시간1시간 제외한거에요)4인사업장이라 따로 연장수당은 없습니다(주57+주휴일8시간)x52.14주 / 12개월 = 282.425시간283시간 x 9,620원(내년최저시급) = 2,722,460원이렇게 지급 예정이고 계약서에도 저 계산식 첨부 예정입니다.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있을까요?
- 화학학문Q. 스탠딩 가스레인지 깊이(세로 길이)가 바닥보다 길어도 되나요?가스레인지 거치 공간은 60x45(가로x세로)인데구입하려는 제품은 59.6x52.5입니다.가로는 어떻게 넣는다 해도 세로가 약 7cm나 남는 상황인데..안전할까요? 아니면 포기하고 다른 제품을 알아봐야 할까요?이것도 어렵게 고른 거라 가능하면 이 제품으로 하고 싶긴 한데안전이 제일이니까요. 휴..
- PC·노트북디지털·가전제품Q. 수냉쿨러 장착 도와주실분계신가요?b450m hdv보드에 nzxt크라켄 x52를 달려는데 어떻개 해야할지를 모르겠네요.. 설명서봐도 이해가 잘 안되서 도와주실분 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