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금리가 오르면 왜 채권 가격이 떨어질까?
금리가 오르면서 흔히들 "채권 수익률이 떨어진다,"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는 말 들어보신적 있으실겁니다.
그런데 종종 "채권은 가격이 떨어질 수 없는 금융상품 아닌가요?"라고 하시는분들도 계십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가지고 계신 채권을 만기(계약의 끝)까지 들고 가신다면요.

쉽게 설명 해드리겠습니다.
내가 금리가 1%일 때 만기 10년의 $1000 채권을 구입했습니다. 매년 10 달러씩 이자를 받으니 10년뒤의 나는 원금 + 이자를 합해 $1100를 받습니다.
그런데 하루뒤에 갑자기 금리가 5%로 치솟았습니다. 이 때 똑같이 만기 10년 짜리 채권을 $1000 만큼 사면 10년뒤의 나는 원금 + 이자를 합해 $1500를 받습니다.
그렇다면 하루전에 연 1%를 주는 채권을 산 나는 어제 산 채권을 환불해버리고 오늘 채권을 새로사고 싶습니다.
그런데 어떡하죠? 채권은 환불을 해주지 않습니다. 시장에 내다 팔아야 합니다.
채권시장 구매자들은 5%로 치솟은 금리를 보며 연 5%를 주는 채권을 사려하지, 1%만 주는 내 채권은 사주지 않습니다.
결국 할인된 가격에 채권을 팔아야 합니다. 얼마나 할인해줘야 하느냐고요? 약 31%요.
왜 31%나 할인된, $691.13에 $1000나 주고 산 내 채권을 팔아야 할까요?
지금 내 채권을 사면 수익률이 너무 낮기 때문입니다. 매년 $10씩 이자를 받아도 $691.13 대비 1.4% 가량의 이자율입니다.
따라서 나중에 더 받아야하죠. $691.13을 지금 지불하고 10년뒤에 $1000를 받으면 약 45% 가량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국, 내 채권을 사는 투자자에게 새로나온 채권을 사는것과 동일한 수익을 안겨주기 위해 할인된 가격에 팔아야 하는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팔리지 않을테니까요.
세 줄 요약:
채권의 절대가격은 변하지 않음
금리가 오를 경우, 내 채권의 '상대 수익률'이 낮아짐
채권을 '시장'에 내다 팔 경우, 신규 채권과 동일한 수익률이 나오게 맞춰줘야함 = 할인된 가격에 판매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10.49% 경기방어 배당주로 만든 커버드콜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미국 증시가 다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눈앞에 두고 흔들리고 있습니다. 경기방어주만 철저히 모아다가 커버드콜을 올린 주식형 배당 펀드 하나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월 배당이고, 2025년 현재 배당 수익률은 약 10%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단, 폐쇄형 펀드라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고건・10272
- NEW경제해외선물 협의수수료란?여러분들 해외선물 매매하시기 전에 한번 읽으시면 돈 벌고 시작합니다!! 저는 몰라서 한동안 눈 먼 돈을 잃었습니다..협의 수수료선물의 특성상 길게 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여러번 매매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수수료에 민감하게 본인의 수익이 좌지우지됩니다.그렇기에 최대한 수수료 혜택을 받는 게 좋은데요. 협의수수료가 그것입니다.선물은 특히나 레버리지상품이고 따라서 변동성이 심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또한 정식 증권사를 이용하시기를 권합니다. 협의수수료는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단 전화하셔서 시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되면 좋고 안 되면 어쩔 수 없는거 아니겠어요?? 협의수수료기준은 검색을 해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두푼 하는 것이 아니니 적어도 해외선물 매매를 꽤나 하실 분들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여담으로 저는 교보증권을 사용중입니다.주식이나 선물이나 심지어 코인이나 모두 매매를 하실 때 어떤 거래소손유근 경제전문가・20204
- NEW경제1경 7000조 굴리는 블랙록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그만 좀 속으세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블랙록, J.P. Morgan 등 유수의 월가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이 해당 암호화폐에 얼마를 투자했다는 내용을 흔히 접할 수 있다.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유튜브 코인 인플루언서들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가 기관투자자가 코인에 투자했다는것은 이제 암호화폐가 제도권에서도 인정받는 증거"라 주장한다.물론 근본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다.블랙록은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에게도 iShares ETF 브랜드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파는 자산운용사다. 일반인에게 "펀드 상품을 만드는 자산운용사"라 하면 흔히 모니터를 8대씩 책상에 올려두고 시장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기회를 발견해 트레이딩하는 액티브 펀드 매니저들을 떠올리지만, 오늘날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패시브 펀드 위주의 비즈니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패시브 펀드는 단어 그대로 투자자들이 원하는 기업이나 지수에 근거하여 이를 추종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블랙록이 고어웨어・20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