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미국 '네 마녀의 날', 변동성 조심? 무슨 뜻이고 언제일까
네 마녀의 날 뜻
할로윈은 분명 일 년에 한번 뿐이지만, 주식 투자자들 한정으로 분기마다 한번씩 찾아오는 이벤트가 있습니다. 마녀의 날입니다.
이런 말,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내일 네 마녀의 날이잖아. 오늘 주식 미리 팔아 놔."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이 봐도 네 마녀의 날은 투자자들에게 뭔가 위험한 날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무슨 날이길래요?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은 주가지수 선물, 주가지수 옵션, 개별주식 선물, 개별주식 옵션 총 네 가지 주요 파생상품의 만기일이 동시에 겹치는 날을 칭하는 은어로, 마녀들이 심술 부리는 것처럼 시장이 요동치는 모습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습니다.
정확히는 이제 세 마녀의 날이겠습니다. 미국 OneChicago 거래소에서 거래되던 개별 주식 선물은 2020년9월부터 중단되었기 때문입니다.

마녀의 날마다 거래량이 급증하는 S&P지수의 모습, Trading View
왜 변동성이 난리인거지? 만기일이 겹친다는 것이 갖는 의미
만기랑 시장이 흔들리는게 무슨 상관인데요?
마녀의 날을 언급하려면 우선 파생상품 만기의 개념에 대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의 가격에 따라 가치가 변하는 금융상품을 의미합니다.
주식을 미래에 정해진 가격에 거래하는 계약 같은 것이 그 예시이죠.
어떤 계약이건 간에 약속된 날짜가 다가오면 거래를 해야합니다.
우리가 흔히 갖고 있는 주식은 별 걱정 없이 들고만 있어도 되지만 계약은 특정일에 거래를 미리 약속한 것이기 때문에, 포지션을 연장하고 싶다면 기존 계약을 끝내고 새로운 만기일의 계약으로 연장(롤오버)해야만 합니다.
즉 만기일이 도래한다는 것은 거래가 발생한다는 것이고, 여러 선물 옵션들의 만기일이 겹친다면 주문은 그만큼 몰리면서 현물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게 됩니다.
2025 미국 '네 마녀의 날' 언제? 한국 시간으로는
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거래할 때 위험이 있음을 뜻합니다.
위험한 날이 언제인지 미리 알아두어야겠습니다.
미국 시장에서 네 마녀의 날은 매년 3월, 6월, 9월, 12월의 세 번째 금요일에 발생합니다. 2025년 달력에 반영해보면 올해 네 마녀의 날은 다음과 같겠습니다.
3월 21일 (금)
6월 20일 (금)
9월 19일 (금)
12월 19일 (금)
미국과의 시차 때문에 헷갈리신가요?
한국 시간 기준으로는 그 다음날 토요일이 됩니다.
3월 22일 (토)
6월 21일 (토)
9월 20일 (토)
12월 20일 (토)
마녀의 날 종료 전 한 시간은 변동성이 특히 증가하는 시간대로 "Quadruple Witching Hour"라고 불리는데요, 미국 시간으로는 오후 3시부터 4시, 한국 시간으로는 다음 날 오전 5시부터 6시가 되겠습니다.
마녀의 날 팩트체크: 위기가 아니라 기회일 수 있다?
마녀의 날은 높은 거래량과 변동성을 동반하지만,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날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주간 기준으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마녀의 날에 대한 통계 결론, quantifiedstrategies
Quantified Strategies에 따르면 마녀의 날과 일반적인 옵션 만기일을 비교했을 때:
실제로 변동성과 거래량은 더 큰 모습을 보임
마녀의 날 당일 수익률은 평균 -0.1%로 임의 거래일보다 낮음
특히 쿼드러플 위칭 아워 동안의 평균 수익률은 -0.08%, 승률은 31%
마녀의 날 주간은 평균 0.45%의 수익률을 기록, 61%의 승률
마녀의 날 다음 주간은 평균 -0.05%의 수익률을 기록, 42%의 승률
특히 6월과 9월이 부진한 성과: 각각 -0.57%, -0.75% 하락
S&P 지수를 기준으로 - 마녀의 날이 있는 주에는 마녀의 날 당일을 제외한다면 오히려 상승한 적이 많았다는 결과입니다.
오히려 다음 주가 더 하락세인 모습입니다. 이름이 마녀의 날이라서 그런 것일까요?
"마녀의 날"이라는 명칭이 붙은 유래는 변동성 때문이지 방향성 때문이 아님을 명심하면 투자에 도움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10.49% 경기방어 배당주로 만든 커버드콜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미국 증시가 다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눈앞에 두고 흔들리고 있습니다. 경기방어주만 철저히 모아다가 커버드콜을 올린 주식형 배당 펀드 하나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월 배당이고, 2025년 현재 배당 수익률은 약 10%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단, 폐쇄형 펀드라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고건・10177
- NEW경제해외선물 협의수수료란?여러분들 해외선물 매매하시기 전에 한번 읽으시면 돈 벌고 시작합니다!! 저는 몰라서 한동안 눈 먼 돈을 잃었습니다..협의 수수료선물의 특성상 길게 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여러번 매매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수수료에 민감하게 본인의 수익이 좌지우지됩니다.그렇기에 최대한 수수료 혜택을 받는 게 좋은데요. 협의수수료가 그것입니다.선물은 특히나 레버리지상품이고 따라서 변동성이 심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또한 정식 증권사를 이용하시기를 권합니다. 협의수수료는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단 전화하셔서 시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되면 좋고 안 되면 어쩔 수 없는거 아니겠어요?? 협의수수료기준은 검색을 해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두푼 하는 것이 아니니 적어도 해외선물 매매를 꽤나 하실 분들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여담으로 저는 교보증권을 사용중입니다.주식이나 선물이나 심지어 코인이나 모두 매매를 하실 때 어떤 거래소손유근 경제전문가・20159
- NEW경제1경 7000조 굴리는 블랙록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그만 좀 속으세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블랙록, J.P. Morgan 등 유수의 월가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이 해당 암호화폐에 얼마를 투자했다는 내용을 흔히 접할 수 있다.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유튜브 코인 인플루언서들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가 기관투자자가 코인에 투자했다는것은 이제 암호화폐가 제도권에서도 인정받는 증거"라 주장한다.물론 근본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다.블랙록은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에게도 iShares ETF 브랜드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파는 자산운용사다. 일반인에게 "펀드 상품을 만드는 자산운용사"라 하면 흔히 모니터를 8대씩 책상에 올려두고 시장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기회를 발견해 트레이딩하는 액티브 펀드 매니저들을 떠올리지만, 오늘날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패시브 펀드 위주의 비즈니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패시브 펀드는 단어 그대로 투자자들이 원하는 기업이나 지수에 근거하여 이를 추종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블랙록이 고어웨어・2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