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kers Brands 분석
투자 아이디어
전반적으로 Deckers Brands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과 안정성이 보이기에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메인 브랜드인 UGG는 꾸준히 매년 가을/겨울 분기 매출이 발생하면 이는 다른 브랜드의 전반기 성적이 저조할지언정 후반기는 항상 특정 수준의 성과를 기대 가능케 한다. 또한 가파르게 성장 중인 글로벌 러닝화 브랜드 HOKA 또한 시장의 cagr의 6배 이상 성장 중이며 러닝이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고 있는 세계에서 HOKA의 러닝화들은 러너들에게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더불어 지난해부터 꾸준한 자사주 매입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아직 11억 달러 규모가 남아있는 점을 감안하면 주주 친화적인 행보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대형 경재사들, 나이키, 루루레몬, 아디다스 등에 비해 25.6으로 낮은 P/E를 보이고 있다.
리스크 요소
따로 회사 고유의 리스크는 크게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소비자들의 선호도 및 전반적인 경제 상황에 따른 리스크는 상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면 좋을 것 같다. 위에 비교한 대형 경제사들과 달리, 소/중형 규모의 크록스, 스케쳐스 등과 비교 했을 때, 보다 높은 P/E를 보이고 있지만, 이 차이 또한 브랜드 가치 및 경영진의 역량 차이로 생각된다.
개요
Deckers Brands는 1953년 Doug Otto와 Karl F. Lopker이 공동 설립한 신발 회사로서 현재는 약 156억 달러의 시장 가치를 보유하며 UGG, Hoka, Teva, 등의 유명 신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다. 설립 당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사업 확장을 하였으나, 1993년에 IPO를 하고 1995년에 상승세를 타고 있던 UGG를 인수하면서 국제적인 기업으로 성장을 하게 되었다. 현재는 5개 이상의 브랜드 이름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 시장은 UGG를 중점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설명에 더불어 UGG는 Deckers brands의 주 매출 담당인 메인 패션/럭셔리 브랜드이며 2023년 기중 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큰 Hoka는 2010년 중반부터 성장해온 퍼포먼스 스포츠 신발 브랜드이며 현재 2023년 매출의 약 40%를 담당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 외로 Deckers Brands는 2000년에 들어 여러 신발 브랜드들을 사들이며 회사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였지만 2015년을 마지막으로 인수한 Koolaburra를 UGG의 서브 브랜드로 지정해놓으면서 더 이상의 브랜드 인수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회사내 브랜드 성장 및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사업 모델
Deckers Brands는 설립 이후 2010년 초반까지 주요 사업이었던 wholesale distribution에 더불어 2010년 중반부터 확장해 나간 컨슈머와 직접적으로 판매를 올리는 DTC 전략을 메인 사업 전략으로 분류해 왔다. 2023년을 기점으로 약 31억 달러의 매출 규모를 달성했으며 wholesale business와 더불어 2010년들어 확장해나아가고 있던 DTC sale 또한 매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채널별 매출 지분
이는 2020년 기준 각 65%, 35%였다는 점을 보았을 때, 더 직접적인 마케팅과 매출 전략이 효과를 계속 보이고 있다는 지표로 보인다.
2014년 Investors Presentation에 따르면, 회사의 주 사업인 UGG 브랜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트랜드와 인기를 올리면서 DTC 사업을 확장한다는 목표와 이를 통해 회사 내의 다른 브랜드들의 가치를 성장시키는 계획이 예정되어 있었다. 이는 2023년 Investors Presentation에서, UGG는 19억 달러 매출을 달성하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가 되며 Decker Brands의 Hoka 브랜드 또한 14억 달러 매출 수준을 달성하는 글로벌 스포츠 의류 브랜드가 되었음으로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볼 수 있다.
또한 자국 시장을 넘어서 국제적인 시장에서도 선전하는 모습을 보인다. 2023년 기준 Deckers Brands 총 매출의 68%는 자국 시장에서, 32%는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다. 국제적 시장 지분을 조사한 결과, 3천5백억 달러 규모의 국제 시장에서, 2022년 전체 신발 브랜드 중 UGG는 1%의 지분을 차지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1위 나이키가 7%, 아디다스가 3%인 것을 감안하면, 세계 10위안에 들어가는 성과이다.
특히 UGG가 Deckers Brands의 중심 브랜드인것을 감안 했을 때, 2010년 초반부터 이어지던 털부츠의 인기 감소를 UGG는 신발 뿐만이 아닌 스포츠웨어 등의 여러 다른 방면의 아이템을 판매함으로써 그 인기를 유지하며, 고유의 털부츠 디자인을 UGG의 아이코닉한 디자인으로 만들게 되었다. 또한 DTC 사업을 확장해감으로써, 더이상 wholesale distribution으로의 판매가 아닌, 직영 retail store를 전국적 및 글로벌 럭셔리 몰에 입점함으로써 그 인기와 브랜드 가치를 성장시키게 되었다.
특히 UGG는 십대와 20대에게 인기있는 디자인과 편안한 착용감에 의해 매년 가을/겨울에 꾸준한 매출을 올리게 되는 안정적인 브랜드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허나 신발 특성상, 봄/여름에 수요가 덜한 털부츠보단 스포츠 및 퍼포먼스 신발을 위주로 매출을 올리는 HOKA 또한 Deckers Brands의 연초 매출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DeckersBrands는 앞으로 DTC 비즈니스 확정해 가며 글로벌 성장을 목표에 둔 만큼, 글로벌 직영점들 및 백화점 입점을 계속해서 성장시킬 계획으로 보이며 특히나 계절의 영향을 받는 UGG를 제한 HOKA 및 다른 산하 브랜드들을 더 성장 시킬 계획으로 보인다. 이는 더이상 신발뿐 만이 아닌 다양한 스포츠웨어 및 케주얼 웨어와 함께 런칭함으로써 그 인기와 트렌드를 고수하며 시장 점유율 또한 더 성장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보인다고 생각한다.
기업 실적
최근 실적으로 중점적으로 보자면, 최근에 발표된 2분기 FQ2 실적 리포트에는 총 매출이 작년 대비 약 24.7%, 약 11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한 것으로 발표되었다. 주당순이익(EPS)는 작년 대비 $6.81로 79% 상승하였다. 이는 분석가 수치의 $11.89 정도 선에 못 미치는 결과값이었다. 이는 가을과 겨울 대비 인기가 다시 올라가는 UGG 및 봄부터 꾸준한 매출 상승을 올렸매던 HOKA 브랜드의 매출 지분이 컸던 것으로 확인 된다. 특히 어닝콜에서도 표현된 결과, HOKA의 DTC 채널을 통한 매출이 성장세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확인된다.
UGG는 작년대비 매출이 6.1억달러로 28.1% 상승했으며 HOKA는 4.2억 달러로 27.3% 상승세를 보였다. 이외 Teva는 2150만 달러로 28.4% 하락하였으며 Sanuk은 540만 달러로 28.5% 매출 하락을 보였다. Koolaburra를 포함한 다른 브랜드들은 총 7%의 상승으로 306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소매가의 꾸준한 2자릿수 증가와 연관 되어있다는 발표 또한 있었지만, 이는 가을을 대비한 큰 wholesale distribution demand와 겹쳐서 더욱 큰 상승폭을 결과값으로 나온 것 같다.
자국적 및 글로벌적 매출 또한 상승하였지만, 7.5억 달러로 21.1% 상승한 자국 매출에 비해 3.4억달러로 33.3% 상승한 국제 매출 폭이 더 크다 볼 수 있다.
DTC와 Wholesale기반 매출 또한 상승폭을 보였다. DTC 매출은 3.3억 달러로 38.8% 상승하였으며 wholesale매출 또한 7.6억 달러로 19.4% 상승을 보였다.
매출 총이익 또한 5.2 퍼센티지포인트 오른 53.4%를 기록하여 꾸준하며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번 분기에 Deckers Brands는 34.7만 자사주를 다시 사들였으며 1.85억 달러 상당의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이로써 허용된 자사 매입 한도는 11.46억 달러 남았으며 이는 회사의 Sanuk 브랜드를 버리는 입장을 표한바, 새로운 브랜드 매입을 준비하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또한 꾸준한 UGG의 한자릿수 상승을 예상하며 아직 성장이 완전치 않다는 Hoka는 3분기 실적보다 새로운 아이템 런칭이 준비된 4분기 실적이 더 좋을 거라 예상하지만 여전한 20% 이상의 상승세가 계속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Teva 브랜드는 경제 지체되는 트랜드에 알맞게 성장이 더뎌질 것이라 발표했다.
이에 더해 여러 애널리스트 기준, Deckers Brands의 목표가격을 꾸준히 상향 조정하는 발표가 나왔으며 연속해서 “바이” 입장을 내어놓고 있다. 이는 저번주에 이어 이번주까지 연속된 두 자릿수 주가 상승과 전문가의 예상을 뛰어넘는 분기별 실적을 의식한 조정으로 보인다. 더해 Decker Brands는 2024년 예상 주당순이익(EPS)를 $23.50에서 $24.10로 올린바, 2024년 실적 또한 40억 달러 수준으로 상향 발표되었다.
기업 재무제표 정리
2022년 대비 2023년 재무제표를 비교하면, 현금 자산은 9.8억달러로 약 1.5억달러 증가했으며 올해 2분기 지표에서는 작년 대비 8.2억 달러로 2배정도 증가를 하였다. 인벤토리 또한 7.2억달러 가치로 작년대비 9.2억달러에서 줄은 것으로 보인다. 이번 분기에 또한 34.7만주를 다시 사드렸으며 현금화 자산을 비롯해 다시 회사 인수를 위한 움직임이라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캐시 플로우는 작년의 내려간 추세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2021년 수준의 현금 자산에는 못 미치는 수준으로 파악되지만 코로나 이후 매우 빠른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 회사의 유동비율는 3.84로, 자산의 현금화 능력이 매우 좋으며 부채비율 또한 0.21로 부채대비 자산운용이 더 원할한 지표로 보인다. 또한 부채자본비율이 0.45로 다른 경쟁사대비 매우 좋은 지표를 띠고 있어서 포괄적으로 보았을 때 매우 강한 재무재표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Deckers Brands의 주요 경쟁사들을 조사해보면, 코로나 이후 비슷한 형태의 매출 및 캐시플로우 실적을 보이고 있어, 이 지표들은 이 회사만의 현상이라 단정짓기에 어렵다. 허나 다른 경쟁사들, CROCS, SKETCHERS, 등 비교했을 때, 주가 및 가치 산정이 매우 높게 되어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기에 조금은 유의할 필요성이 보인다.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10.49% 경기방어 배당주로 만든 커버드콜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미국 증시가 다시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눈앞에 두고 흔들리고 있습니다. 경기방어주만 철저히 모아다가 커버드콜을 올린 주식형 배당 펀드 하나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월 배당이고, 2025년 현재 배당 수익률은 약 10%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단, 폐쇄형 펀드라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고건・10280
- NEW경제해외선물 협의수수료란?여러분들 해외선물 매매하시기 전에 한번 읽으시면 돈 벌고 시작합니다!! 저는 몰라서 한동안 눈 먼 돈을 잃었습니다..협의 수수료선물의 특성상 길게 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여러번 매매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수수료에 민감하게 본인의 수익이 좌지우지됩니다.그렇기에 최대한 수수료 혜택을 받는 게 좋은데요. 협의수수료가 그것입니다.선물은 특히나 레버리지상품이고 따라서 변동성이 심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또한 정식 증권사를 이용하시기를 권합니다. 협의수수료는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단 전화하셔서 시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되면 좋고 안 되면 어쩔 수 없는거 아니겠어요?? 협의수수료기준은 검색을 해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두푼 하는 것이 아니니 적어도 해외선물 매매를 꽤나 하실 분들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여담으로 저는 교보증권을 사용중입니다.주식이나 선물이나 심지어 코인이나 모두 매매를 하실 때 어떤 거래소손유근 경제전문가・20207
- NEW경제1경 7000조 굴리는 블랙록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그만 좀 속으세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블랙록, J.P. Morgan 등 유수의 월가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이 해당 암호화폐에 얼마를 투자했다는 내용을 흔히 접할 수 있다.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유튜브 코인 인플루언서들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가 기관투자자가 코인에 투자했다는것은 이제 암호화폐가 제도권에서도 인정받는 증거"라 주장한다.물론 근본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다.블랙록은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에게도 iShares ETF 브랜드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파는 자산운용사다. 일반인에게 "펀드 상품을 만드는 자산운용사"라 하면 흔히 모니터를 8대씩 책상에 올려두고 시장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기회를 발견해 트레이딩하는 액티브 펀드 매니저들을 떠올리지만, 오늘날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패시브 펀드 위주의 비즈니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패시브 펀드는 단어 그대로 투자자들이 원하는 기업이나 지수에 근거하여 이를 추종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블랙록이 고어웨어・201,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