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NEW
보험

[실손의료비] 성조숙증진단 실손의료비 보상 가능할까?

박지연 손해사정사 프로필 사진
박지연 손해사정사

요즘 부모님들 사이에서 자주 들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성조숙증"입니다.

예전보다 훨씬 어린 나이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치료를 시작하려고 하면 비용 부담이 적지 않아 “실손의료보험으로 보장이 될까?” 하는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성조숙증은 보험사마다, 그리고 가입 시기별로 보상 여부가 크게 달라지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오늘은 성조숙증의 기본적인 개념과 함께, 실손보험 가입 시기에 따른 보상 가능 범위와 보험사 심사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험 가입 시기별 성조숙증 보상 가능 여부]

성조숙증 치료비의 실손보험 보장 여부는 가입 시기별 약관과 심사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자신의 가입 시점에 맞는 보상 가능 범위를 확인해보세요.

1. 표준화 이전 실손의료비 (2009년 8월 31일 이전 가입자)

이 시기에 가입한 경우에는 비교적 보장 범위가 넓습니다.

치료 목적 소견서가 제출되면 성조숙증 관련 진료비도 지급이 가능합니다.

즉, 진단 후 치료 필요성이 명확히 확인되면 보험금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 표준화 이후 실손의료비 (2009년 9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가입자)

이 시기 가입자의 경우에는 아래 기준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1) 요양급여 항목 – 건강보험에서 급여로 인정되는 경우 보상 가능

(2) 전액 본인부담금 항목 –2차 성징 성숙도 2단계 이상, GnRH 자극검사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해 지급 검토 가능

(3) 비급여 항목 – 원칙적으로 보상되지 않습니다.

즉, 급여 항목은 보상되지만 비급여나 전액 본인부담 항목은 제한적으로만 인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신(新) 실손의료비 (2016년 1월 1일 이후 가입자)

현재 판매되고 있는 실손보험(3세대 실손)에서는 요양급여 항목 중 치료 목적이 명확한 경우에만 보상이 가능합니다.

그 외의 비급여 검사나 치료비는 보상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필독]

보험사별로 조금씩 지급기준이 다를 수 있는 부분은 감안하여 봐주시길 바랍니다.

댓글0
박지연 손해사정사
보험사
박지연 손해사정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댓글 아이콘필담이 없어요. 첫 필담을 남겨보세요.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