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에 상처치료 연고는 언제 출시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0년 출시된 마데카솔이 최초의 상처치료 연고입니다. 후시딘은 그 이후에 나왔지요~
학문 /
역사
23.04.11
0
0
박혁거세의 일대기가 알려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에서 태어나 신라를 건국한 사람이에요.13살에 왕으로 추대되어 죽을 때 까지 신라의 거서간(왕)으로 일생을 보냈습니다.근데 호옥시 박혁거세가 태어난 곳 부터 죽어서 묻힌 곳 까지 걸어서 14분이면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탄생도 남다른 박혁거세.죽음 역시 남다른데요.삼국사기에 따르면 박혁거세는 하늘로 승천하였고 7일 후의 시체가 다섯개로 나뉘어서 떨어졌다고 합니다 (산락: 흩어져 떨어짐)어떻게 사람이 하늘로 승천하고 몸이 다섯개로 나뉘어져 떨어질 수 있었을까요?이는 그의 반대파에 의해 살해됐다는 해석이 맞을것 같습니다.
학문 /
역사
23.04.11
0
0
세종대왕님이 한글을 만드셨을때 왜 양반들은 반대를 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대주의에 빠져 있었죠. 우리말을 갖는건 중국 대국에 대한 반란이었고, 또 양반의 특권이었던 학문과 언어를 지켜서 그들의 자리를 지키고 싶었던 것이지요
학문 /
역사
23.04.11
0
0
이방원이 젊은 나이에 세종에게 왕을 물려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이 생전에 왕위를 물려주는 것은 조정을 불안하게 만들고, 신하들도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며, 왕위를 이어받은 새 왕도 힘들게 하는 일이었다. 이를 훤히 알고 있었던 태종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을까?이를 두고 대개 세종에게 정사를 가르치기 위한 태종의 위대한 결단이라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작 태종 스스로는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태종은 살아있는 상태에서 왕위를 세종에게 물려주게 된 결정적인 이유를 자신의 건강 때문이라고 말했다.
학문 /
역사
23.04.11
0
0
우리나라 전쟁 중 가장 압도적인 승리는 어떤 전쟁을 뽑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옥포해전입니다. ㅋㅋ이순신장군은 당시 적함 26척을 격파하고 우리군인은 한명만 희생된 역사상 가장 압도적 승리입니다
학문 /
역사
23.04.11
0
0
오합지졸은 사자성어인가요?고사성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까마귀를 모아 놓은(것 같은) 병사. 까마귀 떼와 같이 조직도 안 되고 훈련도 없이 모인 무리라는 뜻으로, 어중이떠중이를 비유하는 말의 고사성어 입니다
학문 /
역사
23.04.11
0
0
유대인 교육은 한국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육의 사상 주체안에 신앙적인 크리스트교적 선민사상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인것 같습니다.교육을 하고 교육해야하는 이유가 유대인은 주님의 가르침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한국은 그저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지요
학문 /
역사
23.04.11
0
0
레이몬드 챈들러의 대표작은 무엇이고 그 특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20세기 초 미국에서는 질 낮은 종이로 만든 펄프매거진이 유행했다. 주로 대중이 흥밋거리로 가볍게 읽을 만한 소설이 실렸는데, 여기 실린 소설들을 보통 펄프픽션이라 불렀다. 펄프매거진은 가격도 싸고 표지도 자극적이었던 탓에 사람들은 가볍게 사서 읽은 후 쉽게 버리곤 했고, 자연히 펄프픽션 역시 싸구려 소설이라는 인식이 생겨났다. 그러나 그런 만큼 펄프매거진은 문턱이 낮아, 대중에게 알려질 기회를 잡기 어려운 무명작가들의 등용문이 되기도 했다. 모든 소설이 다 저급은 아니라 펄프픽션에서 시작해 문학사에 이름을 남긴 작가도 적지 않다. 하드보일드 소설의 선구자라 불리는 미국의 대표적인 추리작가 레이먼드 챈들러 역시 그중 하나다.문학에서 ‘하드보일드’는 보통 폭력적이거나 위험한 사건을 냉정하고 건조하게 다루는 글을 가리킨다. 이러한 특성상 추리소설에서 크게 발전한 하드보일드 스타일은 미국 범죄소설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으며 1940년대 이후 필름 누아르가 발전하는 데도 큰 영향을 끼쳤다. 레이먼드 챈들러는 이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형태와 방식을 다듬어 완성한 대가라 평가받는다.대표작은 딥슬립이다
학문 /
역사
23.04.11
0
0
테니스 경기에서 발리라는 용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점수가 10점씩 추가되는것은 아니구요,0.15.30.40.ad 이렇게 됩니다.발리는 상대의 공격이나 샷을 네트큰처에서 땅에 맞기전에 다이렉트로 짧게 또는 길게 받아치는 기술로 빠른대처에 상대방이 대처하기에 시간적 어려움을 주는 기술입니다
학문 /
미술
23.04.10
0
0
금성철벽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쇠로 만든 성과 철로 만든 벽이라는 뜻으로, 방어 시설이 잘되어 있어서 공격하기 어려운 성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출처는 서적(徐積)의 《화예복(和倪復)》이다.
학문 /
역사
23.04.10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