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일본과 백제는 대등한 관계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가 알기로는 백제가 훨씬 뛰어난 예술과 문화를 가지고 있어서 일본이 따 받들었던것 같습니다. 여러 문헌과 사료에 남아있습니다. ㅋㅋ
학문 /
역사
23.08.19
0
0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건축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76년 강화도 조약이 맺어지면서 부산과 원산, 인천 등 3개 항구가 개항되고, 이들 개항지와 서울을 중심으로 외국공관, 상사건물과 주택, 종교관계 시설 등의 서구건축이 유입됐다고 한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주택은 인천에 개설된 세창양행(世昌洋行)의 사택으로 1890년경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다. 사택의 형식상 본격적인 주택은 아니지만, 서양식 주택으로서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학문 /
역사
23.08.17
0
0
마루타 실험한 일본의 731부대는 실존하는 부대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말 존재했던 잔인무도한 집단이었습니다.지금도 그 실체가 드러나는 증거및 문서들이 속속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악마같은 일본놈들!
학문 /
역사
23.08.17
0
0
정부는 없어도 나라는 있었다라는 말.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가의 말 : 1948년 8월 대한민국이 건국됐다는 일부 보수 세력의 건국절 주장과 궤를 같이하는 발언입니다.(이 주장은 일제강점기를 정당화하는 주장입니다. 미치고 환장하죠...ㅠ)광복회장 : 1919년 만들어진 민주공화정 체제의 임시정부를 이어받은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 8월 15일 '건국'이 아닌 '수립'됐다는 설명입니다.
학문 /
역사
23.08.16
0
0
과거 일본과 백제의 관계가 친밀했다던데 어떠한 근거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백제의 유물이나 양식이 일본에 그대로 남아있거나백제에서 보낸 일곱가지의 칼등 유물이ㅜ일본에 있는걸 보면 알수 있습니다ㅡ 또한 백제의 도공들이 일본에 자리잡고 일본의ㅜ자기를 발전 시켰지요
학문 /
역사
23.08.16
0
0
아모르파티는 니체가 했던 말이었는데요. 명확한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의 철학자 니체의 운명관을 나타내는 용어. 운명에 대한 사랑이라는 뜻이다. 재밌는 노래에 인생의 철학이 담겼죠? ㅋㅋ
학문 /
철학
23.08.16
0
0
우리나라는 기독교를 처음엔 왜 박해 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분의 상하고저가 있던 조선시대에 평등을 이야기하는 기독교가 받아들여지지 않았죠. 민중봉기가 일어날수 있고 기득권 양반을 흔들수 있는 무시무시한 사상을갖고 있었기 때문이죠
학문 /
역사
23.08.15
0
0
안중근의사 조력자 최재형 선생은 어떤분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제 다큐멘터리를 봤는데요, 참 훌륭하고 기억되어야하는 어르신입니다."블라디보스톡의 페치카"라는 별칭으로 불렸던 선생은 백화점을 갖고 있을만큼 부귀영화를 누렸지만 그많으누재산을 동포의 교육과 독립운동에 다 사용하셨다고 합니다. 안중근의사의 뒤를 봐준것도 유명하지요.
학문 /
역사
23.08.15
0
0
암행어사는 어느시대에 있엇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초기부터 있었습니다. 당하 관원 중에서 임시적으로 특명해 이들을 비밀리에 보내면서 수령의 득실(得失 : 훌륭한 정치와 탐학한 정치)과 백성의 질고(疾苦 : 고통이나 어려움)를 탐문해 돌아와서 임금에게 사실대로 아뢰는 것을 직무로 하였다. 수의(繡衣) 또는 직지(直指)라고도 한다.태조∼태종 때는 수령의 권한을 강화하고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정비하던 시기로, 이들은 수령보다 토호 등 지방세력의 불법을 집중적으로 규찰하였다. 반면, 세종∼단종 때는 부민고소금지법(部民告訴禁止法)의 시행과 더불어 수령의 권한이 확대되고 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수령의 무능과 비리를 적발하는 것이 주가 되었다.
학문 /
역사
23.08.15
0
0
고조선이 우리나라의 기원인 기록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기와 한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기원전 4세기 조선왕 1세 칭왕기원전 3세기 고조선-연 전쟁[6]기원전 195년 위만, 고조선 망명기원전 194년 위만의 정변·위만조선 건국기원전 109~108년 왕검성 전투, 전한에 의해 멸망
학문 /
역사
23.08.15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