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독감주사를 맞아야 하는데 감기에 걸려있으면 맞을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독감과 일반 감기는 원인 바이러스가 다르기 때문에 엄격히 말하면 다르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기에 걸렸을 때 독감 예방접종이 금기이거나 접종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증거는 없지만, 예방접종 후 컨디션 등을 고려하여 가급적 감염이 없을 때 접종을 권고하고는 있습니다. 명확한 발열 정도가 아니라 경한 기침 정도라면 독감 예방접종에 무리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2.10.26
0
0
단백뇨 검사를 받으려면 어느 과에 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단백뇨는 신장기능의 이상으로 인해나오지 않아야 할 단백질이 소변에 섞여 나오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신장내과 진료를 보시면 되고 일반 내과에서도 검사가 가능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2.10.26
0
0
수족구 잠복기는 몇일이고 어떻게 감염전파되나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수족구의 잠복기는 3~7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침 등의 분비물이나 대변 등을 통해서 전파됩니다. 대개 어린이집/유치원에서 감염되나 확실한 경로를 알긴 어렵습니다. 성인의 손을 매개로 해서 물론 소아 간 감염이 가능하므로 알코올 젤 등으로 손위생에 신경쓰시기 바랍니다. 바이러스 생존기간 역시 명확하지 않으나 잠복기 동안은 조심하는 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아기 엉덩이 딤플인지 봐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사진만으로는 명확하게 딤플이 의심되지는 않으나 사진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소아과 내원하여 진료 권고드립니다. 딤플 중 깊거나 큰 경우(0.5 cm 이상), 항문으로부터 2.5 cm 이상 떨어진 경우나 털이 난 경우, 피부색 변화가 있는 경우 등에서 초음파 등 추가검사를 고려하는데 실제 신경학적 이상으로 진단되는 경우는 드무나 현재는 굉장히 광범위하게 스크리닝하는 추세입니다. 아이의 경우 보이는 사진 상으로 걱정할 정도의 털 양상은 아라도 생각되나 정확한 것은 영유아검진 또는 소아과 내원하여 진료 권고드립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21개월 아기 갑자기 코피가 터졌어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코피가 한번 났다고 바로 병원을 갈 필요는 없습니다.코의 혈관은 인체에서 가장 약한 혈관 중 하나로 알려져있고 그만큼 코피도 흔히 발생합니다. 코피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건조한 공기, 외상, 감기 및 알러지, 이물 등이 있는데 21개월 아기의 코피가 흔한 것은 아니므로 외상은 없는지, 이물이 들어간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시고 반복될 경우 혈액응고검사 등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코피가 나더라도 멈추었는지 확인해보시는 것 또한 중요하겠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아이 아토피 개선에 좋은 음식이나 치료법?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사실 아토피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생물학적제제 이외에는 증상을 조절하는 보존적 치료가 메인입니다.우선 보존적 치료의 핵심은 충분한 보습입니다.샤워 후 또는 평상시에도 건조한 부위에 수시로 보습제를 충분히 바를 수 있도록 해주시고, 증상이 심할 때는 국소적으로 스테로이드 로션을 바를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도 그 강도가 다양하므로 증상 정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너무 심하면 경구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도 가능하긴 합니다. 최근에는 생물학적제제인 듀피젠트라는 약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6세 이상에서 투여는 가능하나 보험적용을 받지 못해 1회 50여만원의 치료비가 소요되는 실정입니다.(연 2천여만원) 현재 보험 적용을 위한 제도가 준비 중에 있어 추후 가능할 경우 고려해볼 수 있겠습니다.이외 실내 가습기가 도움이 될 수 있고, 미온수로 목욕을 하며 비누나 거품목욕은 피하도록 합니다. 사실 아토피에 도움이 되는 식이요법은 딱히 없으며 다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2.10.25
0
0
경구피임약을 먹고 6시간 후 구토하였는데 한알 더먹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대개 경구약 복용 후 30분~1시간 이내 구토할 경우에는 재복용을 권고합니다. 6시간이 지났다면 이미 체내에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다만, 100%라는 것은 없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딸아이가 수족구에 거렸는데 집에서 조심할거?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수족구는 콕사키 또는 엔테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코와 목의 분비물, 침, 그리고 대변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전파가 가능하므로 손을 잘 씻는 것이 핵심입니다. 대부분의 일주일 후 자연적으로 회복되나, 입안 병변으로 인하여 경구 섭취가 어려워 탈수가 우려되는 경우 수액 치료를 고려 할 수 있습니다. 이외 특별히 더 조심해야 할 사항은 없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인슐린 식전에 맞는 이유를 정확히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식전 인슐린은 대개 속효성 인슐린으로 식후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속효성 인슐린은 투여 직후 10~20분 사이에 바로 효과가 나타나며 혈당 역시 식사 시작 직후부터 오르기 때문에, 식전 인슐린을 투여함으로써 혈당이 과도하게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식전 혈당을 기준으로 인슐린 용량을 조절함으로써 혈당 조절이 보다 용이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10.25
0
0
밤 새면 열 날 수도 있나요 ???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단순히 밤을 샌다고 열이 나진 않습니다.발열과 구토 등이 동반되므로 소화기계 감염을 의심할수도 있겠습니다.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시고 필요 시 병원 내원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25
0
0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