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피검사 더 검사할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아이가 받은 혈액검사는 혈액응고장애에 대해선 가장 정밀한 검사를 받은 겁니다. 저기서 문제가 없었다면 추가적인 검사는 불필요해보입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10.10
0
0
아이가 기침을 오래하고 있어서 병원을 가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기침은 급성기침과 만성기침으로 나뉩니다. 대개 성인의 경우 8주, 소아의 경우 4주를 기준으로 하는데요, 급성 기침은 호흡기 바이러스 등 감염이 가장 흔하고, 만성기침은 후비루, 역류성식도염, 천식 등이 가장 흔합니다. 치료가 다르기 때문에 동네 병원에서 호전이 없을 경우 종합병원에 내원하셔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호흡기내과는 성인진료이므로 소아호흡기알레르기과에 내원하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2.10.10
0
0
수족구로 손에 반점이 올라와 가려워 하는데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수족구는 대개 7~10일 정도면 자연호전 되는 경과를 갖지만 개인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려움이 심할 경우 경구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국소적으로 항히스타민 로션 또는 약한 스테로이드 로션을 단기간 바르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의사 처방이 필요하므로 병원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찬 물을 발라주는 것은 약물까지의 효과는 아니더라도 일부 도움은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2.10.09
0
0
항생제 복용 시 술 조금 마셔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맥주 500cc 한잔은 괜찮고 안 괜찮고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는 없습니다. 다만, 항생제는 대개 간을 통해 대사되고 이는 간이 열심히 일은 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 알콜이 들어가서 간에 무리를 준다면 간염 등의 위험성이 있겠죠. 어느 정도의 알코올이 위험한지 여부는 알 수 없고, 개인마다 그 정도도 다를 수 있습니다. 의사로서 답변한다면 금주가 정답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09
0
0
3일째 열이 38~40도를 왔다갔다하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발열이 2~3일 정도는 지속될 수 있으나 4일 넘게 고열이 지속되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소변검사, X-ray 포함하여 피검사를 해보시길 권고합니다. 원인은 발열만으로는 알 수 없으며, 해열제 교차복용하시고 탈수/저혈당 예방 잘해주시고 잘 못 먹거나 쳐지면 수액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2.10.09
0
0
공복시 혈당이 100이 넘어갈때가 많은데 내당능장애 인기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공복혈당장애는 8시간 이상 공복 상태를 유지한 뒤 측정한 혈당 수치가 100~125mg/dl 이며, 내당능장애는 식후 혈당이 140~199mg/dL인 경우로, 공복혈당이 100 이상인 경우는 내당능장애보다는 공복혈당장애입니다. 운동과 식이조절로 건강관리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2.10.09
0
0
두통이 심하거나 잦으면 무슨과 진료를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두통은 신경과에서 진료하며 기본적인 진단과 처방은 일반 내과나 소아과 등에서도 가능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2.10.09
0
0
고3 수능생인데 혈색소수치가 9.4로 나와서 걱정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소아청소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혈색소 정상범위는 남성 기준 13~16으로, 생리 등으로 혈액 손실이 있는 여성과 달리 떨어질 이유가 없기 때문에 9.4면 낮은 것은 맞습니다. 빈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추가 혈액검사가 필요하나 어쨌든 대부분은 철결핍성 빈혈이고 9.4면 심각한 상태는 아니며 식이요법만으로도 충분히 교정은 가능하나 철분제 복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2.10.09
0
2
해외소아과에서 아기 좌약을 넣었는데...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우선 영유아검진 때 연령에 따라 생식기를 확인은 하나 2개월 전에 항문 또는 질에 좌약를 넣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을 것으로 보이며, 좌약이 어떤 약인지 알 수는 없으나 당장 아이에게 명확한 이상소견이 없을 경우 크게 신경 안 쓰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22.10.09
0
0
독감 예방 접종을 피해야하는 기저질환 환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인플루엔자 백신의 우선접종 권장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성폐질환자, 만성심장질환자(단순 고혈압 제외)-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사람- 만성 간 질환자, 만성 신 질환자, 신경-근육 질환, 혈액-종양 질환, 당뇨환자,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60개월~18세의 아스피린 복용자- 65세 이상의 노인- 의료기관 종사자- 만성질환자, 임신부, 65세 이상 노인과 함께 거주하는 자- 6개월 미만의 영아를 돌보는 자- 임신부- 50~64세 성인- 생후 6개월 ~ 59개월 소아- 생후 60개월 ~ 18세 소아 청소년반면, 예방접종의 금기는 다음과 같습니다.1) 백신의 성분에 대해 또는 이전 백신 접종 후에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었던 경우 해당 백신 금기2) 중등도 또는 심한 급성기 질환은 모든 백신의 접종 시 주의를 요함따라서,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는 감염 시 합병증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인플루엔자 접종을 오히려 권장하고 있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2.10.09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