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충전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보통 전지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나뉘는데, 1차전지는 우리가 흔히 쓰는 건전지가 대표적인 1차전지 입니다. 즉, 한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배터리를 말합니다.2차전지의 경우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 대부분 충전을 통하여 쓰고있는 배터리는 2차전지로 보시면됩니다. 2차전지의 대표적인 배터리로는 리튬이온배터리 입니다.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방전된 상태에서 충전시 양극에 있던 리튬원자가 리튬양이온과 전자로 이온화 되고, 전자는 연결된 배선을 따라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리튬양이온은 전해액을 통하여 음극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음극으로 이동된 리튬양이온과 전자는 음극 활물질(흑연)의 구조속에 저장되어, 리튬이온과 전자가 합쳐지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1
0
0
제주의 주상절리는 어떻게 생겨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주상절리의 경우 현무암질 용암이나 응결응회암이 냉각되어, 다각형처럼 갈라져 기둥이 배열되는 것을 말합니다. 뜨겁게 흐른 용암은 주변의 차가운 공기와 만나게되면 표면부터 식게되는데, 빠르게 냉각하는 용암은 그만큼 빠르게 수축하여, 용암의 표면에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모양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이렇게 냉각 수축작용으로 생긴 절리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발달하면 기둥모양의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주상절리라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9
0
0
달고나에 소다를 넣으면 왜 부풀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달고나를 제작할 시 설탕을 녹인다음 식소다를 넣게되면 부풀어 오르게됩니다.이는 설탕을 녹인곳에 있는 수분과 열에 식소다가 반응함으로써, 이산화 탄소가 발생한 결과로, 이처럼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달고나 내부에 다공층을 형성시켜, 단단하지만 부드러운 질감을 유지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자동차 속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안녕하세요.자동차의 속도의 측정은 바퀴에 달린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합니다.바퀴가 한바퀴 돌았을 때의 이동하는 양에 대한 데이터와 한바퀴 돌았을 때의 시간을 측정하여, 그 속도를 계산하게 됩니다.차량 내 달려있는 속도계의 경우는 그러하고, 네비게이션에서의 속도를 측정하는 원리는 GPS를 기반으로 하여 측정하게 됩니다. 즉, 인공위성을 통한 실시간 자동차의 위치와 이를 활용한 속도를 측정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07
0
0
하늘에 보이는 별들이 지구처럼 행성이 아니고
안녕하세요.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주로 항성입니다. 태양계에는 하나의 항성이 존재하죠, 바로 태양입니다.태양을 제외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이며, 대략적인 거리는 4.2광년 즉, 빛의 속도로 4.2년을 가야 도달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2022년, 6월 26일 태양계의 행성 5개가 일렬로 늘어서 한번에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시기가 있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7
0
0
한 겨울에 입김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입김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온도차이에 따른 응결입니다.입김은 입에서 나오는 더운 김으로, 인간이 호흡을 할 경우 내뱉는 공기에 수증기가 일부 포함됩니다.이러한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 순간적으로 응결되며 흰 연기를 볼 수 있게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물리
22.12.07
0
0
달의 어두운 부분이 보이는 달의바다는 왜 바다라고 불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달의 표면은 크게 달의 고지, 달의 바다로 구분되며, 주변보다 특히 어두운 부분을 달의 바다라고 합니다.이는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달을 관찰하던 중 검게 보이는 영역에 물이 있을것으로 판단하여 달의 바다로 이름을 붙였으나, 실제로는 물이 있지는 않고, 분출한 마그마가 식으면서 생성된 현무암질 암석으로 어두운 색을 띠는 그러한 표면을 가르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지구의 나이를 측정하면 몇살 인가요?
안녕하세요. 지구의 나이는 약 46억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의 나이를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방사성 연대측정법을 이용하게됩니다.방사성 원소의 붕괴는 오로지 시간만 관련돼 있어, 주위의 압력이나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즉, 방사선 원소가 붕괴되어, 원자의 수가 원래의 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반감기라고 하는데, 이러한 방사선 원소가 얼마나 줄어들었는지를 조사하여 지구의 나이를 계산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세균과 바이러스는 세균의 경우 하나의 독립된 세포로 이루어진 생물임에 반면, 바이러스는 이중나선 구조의 DNA와 단일 나선의 RNA와 같은 핵산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구조로 스스로 에너지와 유기물을 만들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또한 세균은 공기 중, 사람의 몸 속과 같은 먹이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증식이 가능하지만, 바이러스는 반드시 살아있는 생물체의 세포를 숙주로 삼아야만 번식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5
0
0
제2의 지구는 존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우리은하에 속한 별의 갯수는 2천억~4천억개 정도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것들도 추정치이고, 1조개가 된다고 하는 이도 있습니다. 이러한 은하는 우주에 몇개나 있을까요..? 추정이 불가능 합니다. 즉 태양과 같은 별(항성)들이 어느정도 있는지 가늠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항성 주변에서 공전을 지구형 행성들이 최소한 1~2개 정도는 존재하겠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확률상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거리가 워낙 멀어 현재의 인간의 기술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관측이 되진 않았습니다.이 넓은 우주에 지구의 인간만이 존재한다면, 엄청난 공간의 낭비 이겠죠?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