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40대 후반인데 자산이 집포함 해서 18억있으면 노후걱정없을까요?
노후에 필요한 절대적인 금액 같은것은 없습니다.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지요.누군가는 1억 정도로도 지낼 수 있는 반면 누군가는 50억으로도 모자를 수 있습니다.본인의 생활패턴, 주변 환경, 소비 습관에 따라 다른 문제라 딱히 얼마가 더 필요하다 말하기는 어렵겠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1.03
0
0
새로 이사갈집 확정일자를 이사전에 받아도 되나요
확정일자는 이사전에 받아도 관계없습니다.다만 확정일자의 효력은 대항력이 생김과 동시에 발생하니 미리 받았다고 해도 실제 효력은 대항력이 발생하는 전입신고 한 다음날 0시부터 발생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3
5.0
1명 평가
0
0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 월세입니다.
중개보수는 지역마다 다르지 않습니다.월세의 중개보수는 [보증금 + (월세 x 100)] x 중개요율로 결정합니다.해당 가격대의 중개요율은 주택의 경우 0.3%, 상가는 0.9% 입니다.계산해보면 주택은 435,000원 상가나 사무실은 1,305,000원 입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3
5.0
1명 평가
0
0
주식투자 광풍인데 정말 문제 없을까요?
문제가 있을지 없을지. 지금이 진짜 버블인지 아닌지는 버블이 터져봐야 알 수 있습니다.버블일 상태일때는 알기 어렵습니다.다만, 예전과 다른점은 어느정도 실적을 반영한 상태로 주가가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2
0
0
왜 코인 투자자들은 가만히 못있고 사팔사팔 하다가 오히려 손해를 볼까요?
사람의 기본 심리입니다.수익이 나면 다시 떨어질까 수익을 확정짓고 싶고 손실이 나면 더 떨어질까 손절을 하게 됩니다.미래를 알 수 없기에 올라도 많이 올라서 떨어질까 싶고 떨어지면 더 떨어질까 싶은 마음이 드는게 기본이고 그 기본적인 사람의 심리를 이겨내기 힘들기에 위와같은 모습이 많이 나오는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2
5.0
1명 평가
0
0
분양아파트 중도금+ 잔금 대출알려주세요
잔금시에 중도금대출은 다 상환하게 됩니다.잔금대출을 받을때는 해당 시점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대출 금액이 결정되는데 해당 시점의 LTV와 DSR을 고려하여 대출 금액이 결정됩니다.잔금은 20%라고 하지만 어쨋든 내가 필요한 돈은 대출+현금해서 총 분양대금 - 계약금 만큼의 금액이 필요합니다.계약금을 10% 했다면 90% 남은 금액중에 잔금대출을 받고 나머지는 현금이 필요한것입니다.
경제 /
대출
25.11.02
0
0
주식시장에서는 왜 이론을 많이 알아도 손해를 볼 수 있나요?
주식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훨씬 중요한게 심리이고 어느정도의 운이라고 봅니다.운이야 어떻게 할 수 없는 부분이고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부분중에는 강한 멘탈과 내 원칙에 맞는 홀딩내지 손절을 할 수 있는 용기가 그런 기술적인 내용들보다 훨씬 중요하다고 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2
5.0
1명 평가
0
0
주식과 코인은 원래 이렇게 반대로 가나요??
주식과 코인이 원래 같이 간다. 원래 따로 간다. 그런것은 없습니다.주식만 가고 코인은 안가고 코인만 가고 주식은 안가고 그런일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다만, 최근에는 비트코인등의 ETF 가 나오면서 큰 흐름에서는 비슷하게 가는 경우도 있지만 디테일하게는 여전히 제각각인 투자처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1.02
0
0
월세 계약이 만료전에 이사해야되는상황
집주인에게 사정을 이야기 하고 다음세입자를 구해서 내 계약을 종료하고 나가는 순서로 진행됩니다.주인에게 다음 세입자를 얼마에 구할지 확인한 뒤에 주변 부동산에 집을 다 내놓고 계약이 되면 주인이 내야 하는 중개보수를 대신 내시고 퇴거하시면 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2
0
0
월세 2000/60 다가구 빌라 융자 + 총보증금 80%정도 되는데 안전할까요?
보증금과 근저당의 합이 80% 정도 되는 집은 최우선변제금 하나 믿고 들어가는집입니다.대항력만 잘 유지해주고 있으면 돈을 돌려받는데는 크게 무리가 없겠으나 말씀하신대로 그 기간동안 돈을 못받게 되는게 문제라면 문제일 수 있습니다.다만, 월세 같은 경우는 시세가 특별히 높은곳이 아니라면 집도 잘 나가는 편이고 보증금 미반환하는 경우가 사실 잘 없기는 합니다.
경제 /
부동산
25.11.02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