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개봉된 영화관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최초의 영화전문관은 1909년 개설된 '광무대(光武臺)'랍니다. 1898년 개설했던 '동대문활동사진소'를 1907년 6월부터 광무대라 하였습니다. 초기에 포병열차,기차,잔 다르크 등의 영화가 상영되었답니다.그 뒤 원각사(圓覺社) ·단성사(團成社) 등 영화관이 급증하였습니다.영화관과 극장은 정확하게는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겠죠.(백과사전 발췌)한국 최초의 실내 상설극장이며, 황실극장격인 협률사(協律社)가 개설된 것은 1902년(광무 6)이었다. 이 해 12월 고종 황제의 등극 40년을 맞아 정부에서는 ‘어극 40년(御極四十年)’의 칭경예식(稱慶禮式)을 거행하기 위한 준비의 하나로 서울 서대문구 신문로 새문안교회 자리에 극장시설을 마련하여 기생 ·재인(才人) 등을 연습시킨 후, 수교국가(修交國家)의 원수(元首)들을 초청하였다. 그 후 1908년, 당시 《대한신문》 사장인 작가 이인직(李人稙)이 “우리 나라 연극을 개량하기 위하여 신연극을 시작할 목적으로” 궁내부의 허가를 얻어 협률사 자리에 원각사(圓覺社)를 창설, 여기에서 한국 신연극의 첫 상연작품인 이인직의 《은세계(銀世界)》가 공연되었으며, 원각사의 수용인원은 2,000명 정도였다. 이보다 앞서 1907년 기생조합(妓生組合:券番)이 생김에 따라 기생 ·광대 ·재인들의 활동무대로서 단성사(團成社) ·장안사(長安社) ·연흥사(演興社:朝鮮劇場) 등 여러 극장이 생겨, 연흥사에서는 유명한 임성구(林聖九)의 《육혈포강도(六穴砲强盜)》가 상연되었으며, 이로써 이들 극장은 흥성기를 맞이한 신파극(新派劇)의 공연무대가 되었다. 활동사진(영화)은 흔히 원각사에서 상영되었으나, 최초의 영화전문극장으로 등장한 것은 동대문 전차차고 근처에 설치된 ‘활동사진소’이다. 이 영화관은 한국전기회사에서 운영한 전차의 유객(誘客) 수단으로 이용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영된 초기의 필름들은 《포병열차》 《기차》 등의 시네마토그래프, 《뉴욕의 대화재》 《잔 다르크의 화형(火刑)》 등의 바이타스코프로 모두 단편영화였다. 1919∼20년 사이에 생긴 영화 상영극장은 서울의 경성극장(京城劇場) ·황금관(黃金館) ·희락관(喜樂館) ·우미관(優美館) ·단성사 등 12관, 지방의 국제관(부산) ·마산극장 ·만경관(萬鏡館:대구) ·대전좌(대전) ·원산극장 ·계락관(階樂館:평양) 등 15관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국 연극계에 공헌한 것은 35년 연극 전문극장으로 등장한 동양극장(東洋劇場)이다. 여기에서 한국의 신극이 성장하고 꽃을 피웠다. 광복 전까지 전문적인 연극 극장은 동양극장뿐이었으며, 후에 부민관(府民館:시민회관 별관) ·명치좌(明治座:市公館) 등이 등장하여 당시의 대표적인 극장이자 영화관 구실을 하였다. 광복 후에는 급격히 증가한 영화의 수요에 따라 영화관이 급증하였다.
학문 /
미술
23.01.07
0
0
독립운동가 조소앙선생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치인 조소앙선생은 1887년 경기도파주에서 출생하시어 일본으로 유학가서 메이지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해서 경신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시다가 다시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시다가 1945.8.15해방과 동시에 귀국하여 김구와 함께 정치활동을 하시다가 1950.5.30국회의원이 되었으나 6.25전쟁으로 인해 북으로 납북되어 1956.7월에 국제간첩으로 몰리어 숙청,투옥되어다가 58년에 사망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탱크는 어느시기에 발명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탱크는 원해 영국에서 사용하던 Mk시리즈를 가르키는 말로 1차대전이후 유명해지면서 고유명사가 된거죠.탱크의 탄생배경은 이렇습니다. 1차대전 전까지만 해도 지상전에서는 뭐니뭐니해도 기병대가 막강했습니다. 하지만 기관총이라는 신무기가 나오면서 기병대는 점점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대신 보병들의 전투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그러면서 전쟁이 가져오는 과학의 발달로 야포와 개인화기의 성능이 강화되면서 엄청난 인명피해를 가져오고 결국 신체를 지키기 위해서 땅을 파고 머리만 내밀고 싸우는 참호전이 시작되는거죠. 탱크는 이런 참호전에서 벗어나기 위해 생겨난겁니다.-탱크의 등장1770년 리차드 에지워스(Richard Edgeworth)는 카터펠라 궤도를 가진 탱크의 최초 형태를 디자인한다. 크림전쟁동안 진흙탕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소수의 궤도형식의 증기기관 트랙터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널리 쓰이지는 못한다. 하지만 그당시(1850년대)만해도 본격적인 탱크의 등장이 멀지 않은 것 같았다. 하지만 본격적인 탱크가 등장한 것은 20세기 들어서이다. 1885년 내연기관이 개발되면서 미국의 홀트사에서는 어떤 지면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개터필터를 적용한 트랙터를 생산해 낸다. 도한 홀트사는 미정부에 이를 군사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의하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899년 프레드릭 심스(Frederick Simms)는 모터-전쟁차(motor-war car)라 불리는 장갑과 2정의 기관총으로 무장된 내연기관차량을 개발해 영국군에게 이의 적용을 제의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영구군이 기관총을 도입하기도 전이었고 아주 적은 양만이 도입되어 결국은 별 사용없이 군에서 퇴역하게 된다. 1차대전 발발후 영국의 전쟁장관이었던 키신저경은 이 차량을 '이쁜 기계 장난감'이라 부르며 무시하게 된다.하지만 영국의 회사들과 발명가들은 이러한 군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전쟁에서 쓰일 수 있는 차량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었다. 그리고 영국정부의 일부임물들은 탱크가 가진 잠재적 가치를 인식하여 이의 개발을 독려하기도 한다.영국의 혼스비앤손즈사(Hornsby & Sons)는 Killen-Strait 장갑트랙터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핀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현대 탱크에 쓰이는 것과 같은 철제 캐터필터를 장착한다. 영국육군의 에드워드 스윈턴(Ernest Swinton)대령과 왕립 국방위원회의 모리스 행키(Maurice Hankey)는 탱크가 적의 참호라인을 돌파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이에 대한 집념을 보인다.행키가 1914년 12월26일 탱크에 관한 최초의 공식 문서(문헌에선 "특별 무기")를 작성하고 전쟁이 시작된지 거의 1년후인 1915년 7월이 되서야 탱크 개발에 대한 조직이 정치적으로 승인된다.이 탱크에 대한 관심은 처칠과 로이드 조지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해군대신이었던 처칠에 의해 지원을 받아 초기형태의 마크전차가 생산되어 실전에 투입된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제2차 세계대전에서 유대인을학살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유대인들 특성이 있겠습니다. 카톨릭이나 그리스도교를 믿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돈을 받고 이자를 받는 것들과 돈과 관련된 걸 악으로 보았기 때문에 그리스도교를 안 믿는 유대인들이 이런 고리대금업같은 사업을 통해 돈을 많이 벌고 사업을 펼쳤는데요. 그렇게 시간이 흐른 후 유대인이 자본이 쌓이게 되고 유럽인들은 유대인을 우리의 돈을 훔쳐가는 나쁜 민족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경제대공황이 찾아오고 이를 모두 유대인이 모든 부를 독점하는 쓰레기같은 민족이라는 낭설이 퍼지면서 그걸 극단적인 정치꾼인 히틀러가 이용하기 시작해서 인종청소를 했던겁니다. '이 세상에 이딴 쓰레기가 왜 이 나라에 살고 있냐?' 이런 식으로요. 뭐 독일 뿐만 아니라 전 유럽이 유대인을 보는 시각이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학문 /
철학
23.01.07
0
0
우리가 어떤 문제에 대해 확신을 가졌다면..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손에 장을 지진다라고 할 때에 장은 손바닥 장(掌)자로서 의미중복이구여족발 같은 말과 마찬가지라고 하는군여손을 지진다라는 표현이 맞다고 여러분이 올려주셨군여아님 님이 궁금하신것이 손을 지진다할 때 지진다는 표현이라면그 것에 대해서도 많이들 의견올려 놓으셨던데뜨거운 것에 담근다라는 의견도 있고간장을 끓인 것에 담근다라고 하신 분도 있고저도 개인적으로 손에 장을 지진다를정말 간장에 손을 지지는 건 줄 알았거든여오늘 검색해보니까 그게 아니군여내 말이 거짓말이면 손에 장을 지진다 라는 말 대신에내 말이 거짓말이면 손을 지진다라고 해야되겠더라구여그리고 옛날에는 손이 정말 중요했잖아여지금도 그렇지만 모든 노동의 근본 도구는 손이라고여겨져서 자기말이 참임을 강조할 때 쓰게 되었는데자꾸 쓰다보니까 표준 수사 관용구가 된 것이 아닐까여?
학문 /
역사
23.01.07
0
0
니체의 생애와 사상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일의 철학자. 생(生)철학의 대표자로 실존주의의 선구자, 또 파시즘의 사상적 선구자로 말해지기도 한다. 본 대학을 거쳐 스위스의 바젤 대학 교수직(1869~1879)을 그만두면서부터 고독한 생활을 하다가 정신이상으로 정신병원에서 생애를 마쳤다.그는 종래의 합리적 철학, 기독교 윤리 등 모든 종래의 부르주아 자유주의의 이데올로기를 부정하고 철저한 니힐리즘(nihilism)을 주장하여 생(生)의 영겁회귀(永劫回歸) 속에서 모든 생의 무가치를 주장하고, 선악의 피안에 서서 '약자의 도덕'에 대하여 '강자의 도덕'을 가지고 '초인'(超人)에 의해서 현실의 생을 긍정하고 살아야 함을 주장했다.이 사상 속에는 생물진화론의 생존투쟁의 사고가 존재하고 있음과 동시에, 자본주의가 제국주의 단계로 진행해 가는 19세기 말의 사회상태를 반영하여, 노동자 계급의 격렬해져 가는 공세 앞에서 자본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종래의 자유주의적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대신하여 파시즘의 이데올로기를 제창하였으며, 사회주의를 '노예도덕'으로 간주하고 지배계급의 독재지배를 '군주도덕'으로 높이 내걸어 '권력에의 의지'를 강조하는 입장에 선 사람이었다.
학문 /
철학
23.01.07
0
0
스님은 왜 고기를 드시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것은 불교가 동아시아에 전파되고300년이 지난 이후 벌어진 한 사건 때문입니다.중국 남북조시대남조 양나라의 무제는 독실한 불교신자였습니다.무제는 즉위초부터 채식을 해왔는데하루에 한끼만 콩죽이나 현미밥을 먹었습니다.시간이 지나 517년엔 채식을 자신의 개인적인 식습관뿐아니라국가 의례에도 적용하기시작합니다.종묘에 제사를 지낼때 고기와 생선을 막았습니다.
학문 /
철학
23.01.07
0
0
재채기를 하면 외국에서 ‘god bless you’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 중세 유럽, 사람즐이 많이 죽던 흑사병의 초기 증상이 재채기여서, 당시 교황이 재채기하는 사람들에게 'God bless you'라고 이야기 한 것이 유래라는 설이 있습니다. 신의 가호가 있기를.. 이라는 뜻이요.God bless you를 줄여서 bless you라고 합니다. bless you라는 말에는 Thank you로 답해주시면됩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프랑스는 왜 빵으로 유명한거죠??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 전역은 밀이 잘 자라는 서안 해양성 기후, 지중해성 기후이며 전체적으로 선선합니다. 밀을 재배해기 용이한 환경이라 자연스럽게 빵을 주식으로 하여 왔고 프랑스는 지리적으로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과 맞닿아 이웃 나라들로부터 여러 방식의 빵 제조법을 전수 받아 자기들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발전 시켜 프랑스빵이 유명해진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샌드위치의 유래를 알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 남동부 켄트지방의 샌드위치 백작 4세인 존 몬테규(1718~92)의 이름에서 그 명칭이 유래했다.샌드위치 백작 4세인 존 몬테규(John Montague)는 두 조각의 빵 사이에 속을 채운 인기 있는 간식에 자신의 작위(爵位)를 확실하게 남기는 엄청난 업적을 이룩했다.도박에 심취했던 샌드위치 백작 존 몬테규는 카드게임을 멈추지 않고 허기와 식욕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오랫동안 고민했다.그는 1762년 중동과 근동지역 여행 중에 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을 찾았고 실제로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이것이 우리에게 흔히 알려져 있는 샌드위치의 기원이다.
학문 /
역사
23.01.07
0
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