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2030 유치기원 불꽃쇼가 개최예정입니다. 불꽃놀이에 사용되는 화약의 폭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불꽃은 금속의 연소반응과 불꽃반응 원리로 만들어집니다. 각 금속들이 화약과 함께 연소하면서 산소와 결합하는데 이 때 금속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지닌 불꽃을 내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벽에 붙이는 빨판은 어떤 원리로 안떨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쉽게 말해서 흡착판이라고 표현하면 더 이해가 쉽겠네요.벽에 대고 누르면 짜부러지면서 안에 공기가 빠져나가소 원래 모양대로 돌아오는데 공간은 그대론데 공기가 줄어들어서 불완전 진공상태가 됩니다. 그럼 밖은 대기압 안은 불완전 진공상태로 압력의 차가 발생할 것이고 압력의 특성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작용하니까 밖에서 안을 꾹꾹 눌러주어서 안떨어지게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5
0
0
봄에는 왜 산불이 많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대게 3월~5월달 사이까지는 계절이 너무 건조한 계절이라서 나뭇잎 같은게 말라버려 불에 잘붙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관성으로 인해서 지구의 표면의 모든것이 우주로 튕겨나갑니다.또 자전을 멈추면 자기장이 사라진다고도 할 수 있으므로 태양의 빛에 의해 방사능 등의 피해를 입게 되고 이 태양을 쬐고 있는 부분은 부글부글 끓고 금성 정도 수준으로 뜨거워지게 됩니다. 반대편은 이와 반대로 엄청 차갑게 될 것 이고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목욕을 하고 나면 손이 쪼글쪼글 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목욕 후 손이 불어나는 이유는 손이 수분을 흡수해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그런데 물을 먹었는데도 더 팽팽해지지 않고 쭈글쭈글해지는 이유는 멀쩡하던 손 안에 물이 들어가면 공간이 부족하게 되기 때문입니다.그런데 손 안에 있는 지방(기름)이 물을 밀어내려고 하기 때문에 손이 쭈글쭈글해 지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노트북이나 컴퓨터에서 발열이 생기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나 노트북 내부에 먼지가 유입되면서 발열이 더욱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CPU 내부에 서머구리스가 마모되어 심해지는 경우도 있고요
학문 /
전기·전자
23.04.05
0
0
우리가 녹색 산을 보면 눈이 시원함을 느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효과가 있으니 시력 보호에도 좋겠죠. 푸른 숲이나 초원을 자주보면 시력도 좋아집니다몽골 사람들이 유독 시력이 좋은 이유도 이 것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5
0
0
꽃의 색깔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의 색소는 수용성 색소군과 유용성 색소군으로 구별됩니다.수용성 색소군은 육상 녹색식물에 있는 것으로, 액포 등에 녹아서 존재하는 빨간색 ·파란색 ·보라색 ·자흑색 등의 꽃빛깔이나 과실의 빛깔을 나타내는 안토시안계의 색소군 및 식물의 모든 조직에 존재하여 노란색∼주황색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계 색소군 등입니다.조류의 것으로서는 수용성 피코비린계 색소, 예를 들면 홍조의 피코에리드린, 남조의 피코시아닌 등이 엽록체 중에 존재하고, 엽록소의 작용을 돕고 있습니다. 유용성 색소에는 녹색인 엽록소(a,b,c)을 비롯하여 주로 엽록소와 공존하는 카로티노이드가 있고요. 대표적인 것으로는 카로틴(빨간색) ·크산토필(노란색) ·푸코크산틴(갈조소:적갈색) 등이 있는데, 광합성을 할 때에 엽록소의 작용을 돕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일반적인 생명체들은 모두 수명을 가진 유한한 존재인데 수명이 무한한 생명체도 있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이라는 것 자체가 수명이있는 상태이며, 무한한 수명을 가진 생명이라는 것 자체가 모순이 됩니다.단, 식물 등 몇 천년을 살고 있는 생명처럼 이 생명이 인간의 생명 대비 굉장히 길기 때문에 무한하다는 착각을 할 수는 있을 겁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수소차는 사고 나면 위험하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가 원자폭탄과 같은 물질이기에 터지게 된다면 크게 터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보급되고 있는 시점에서는 수소탱크에 큰 비용을 투자해서 화재 또는 충격에도 터지지 않도록 각종 안전밸브 등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생각보다 큰 사고로 이어질 걱정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721
722
723
724
725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