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금리인상은 언제까지 지속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기준 금리를 7%까지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5~6% 선이 마지노선일 것으로 추정되나, 시장의 기대를 꺾어놓지 않으면 언제든 인플레이션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7~8% 선까지도 카드에 있다 라는 의견을 낼 수는 있다고 판단됩니다. 연준도 잘 되고 있다 따위의 논평이 나오면, 시장이 다시 과열될 수 있기 때문에 해석에 더 신중을 가하고 있고요.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9
0
0
지금 집값이 박살이 났는데 왜 티비에서는 아직도 청약통장을 만들라고 광고를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굳이 찾자면 두 가지 정도의 이유를 둘 수 있을 것 같아요. 그 의도를 비판적으로 보자면, 집값 하락의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조언일 수 있고요, 좋게 보자면, 꼬박꼬박 청약통창을 넣음으로서 내집 마련을 위한 건전한 저축을 진행할 수 있고, 집값 상승기가 만약 생긴다면, 청약에 우선권을 가질 수 있으니까요. 저는 지금과 같은 경제 기조가 이어진다면, 청약통장 운용의 메리트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9
0
0
미 증시가 단기 상승을 이어가는데 위태롭기는 동일한듯 한데요. 미 기준금리는 언제쯤 상승을 멈출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누구도 시기를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만, 분명한 것은 물가성장에 대한 상승세가 완전히 꺾이고, 시장이 투기에 대한 수요를 거두어들이는 시그널이 있어야 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 개인적인 예상으로는 내년 상반기~ 하반기부터 금리를 서서히 안정시길 것으로 예상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1.18
0
0
예.적금이자와 대출이자는 왜 은행마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각 은행, 그리고 더 나아가 지점마다 고객들을 모으는 방법이 다릅니다. 인지도가 낮은 은행이나 지점은 예금이나 적금이자를 높여야 수탁금 및 고객이 모입니다. 반면 인지도가 높고 우량 은행의 경우에는 예금 금리가 낮아도 경쟁력 있게 가져가면, 우량 고객이 모이기 때문에, 예금이나 적금 이자를 높게 가져갈 유인이 적은 측면도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8
0
0
적금 가입하려면 입출금 통장부터 먼저 개설하는거겠죠?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네 맞습니다. 신협은 해당 지점의 입출금 통장을 먼저 개설해야 합니다. 보통 적금 개시일 전날 입출금 통장을 만들어두셔야 합니다. 2. 네 가능합니다. 3. 네 신협은 특이하게 지점마다 적금 금리도 다르고, 특판 정보도 달라서, 꾸준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8
0
0
금리가 오르면서 기존 적금을 해지하고 다시 적금가입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액이 크지 않다는 가정으로 산식에서 복리를 무시하고, 아래 간단한 산식으로 했을 때 단순비교를 해보시면 편할 것 같아요.1년 적금을 예로 들면, 1 년 x 5% < (12-2)/12 년 x 7%-> 옮겨탄다가 유리할 수 있지만, 2개월 더 돈이 묶여있게 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6
0
0
FTx사태가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악영향은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 하락일 겁니다.가령, "FTX 거래소도 하루아침에 망하는데, 가상화폐 시장 이거 진짜 실체가 없는거 아냐?"라는 불신이 생길 수 있어요.국내 가상화폐 시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더 작기 때문에,가상화폐 가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겉잡을 수 없는 피해가 올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다만,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1.16
0
0
저축은행 이자는 왜 제1금융권에 비해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주 간단합니다. 제 1금융권인 주거래은행보다 저축은행 등이 덜 유명하고, 또 재정건정성이 덜 튼튼하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망하면 어쩌지? 라는 고민 등등)그래서 금리를 더 좋게 쳐 줘야지(매력적으로 보여야지), 사람들이 저축은행이나, 유명도가 떨어지는 금융주체들에 돈을 예금하거나 저축하겠지요?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1.16
0
0
최근 FTX거래소 파산 뉴스가 보도되는데 국내 가상화폐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악영향은 가상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 하락일 거예요. 가령, "FTX 거래소도 하루아침에 망하는데, 가상화폐 시장 이거 진짜 실체가 없는거 아냐?"라는 불신이죠. 국내 가상화폐 시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더 작기 때문에, 가상화폐 가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겉잡을 수 없는 피해가 올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요.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1.16
0
0
가상자산 규제안을 만든다면 그여파는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간단히 말해 "규제" 라는 의미는 "제도권의 틀 또는 방식에 맞추겠다" 를 의미합니다.물론, 가상화폐는 음성화된 루트로 거래가 적잖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당분간 규제안을 물샐틈 없이 잘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그런데, 규제안을 꼼꼼하게 만든다는 가정을 한다면, 가상자산의 이상변동폭의 한도를 규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가상자산의 양도 발생 시, 차익 발생 시, 세금이 부과될 가능성도 있죠. 가상화폐 실명제가 도입될 가능성도 있고요.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1.16
0
0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