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공룡이 살던 시기에 존재했던 나무로 지금도 있는 건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공룡 시대에 번성한 나무로 메타세콰이아가 있어요. 은행나무나 소철처럼 공룡이 살던 시대부터 함께 살아왔죠. 과거에 있었던 나무로만 알려져오다가, 1946년에 발견되어 조경수로 많이 심고 있어요.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1
0
0
공기청정기가 냄새를 없애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청정기에는 크게 필터식 공기청정기, 음이온식 공기청정기로 나눌 수 있는데요, 필터식은 헤파필터로 고체, 액체 형태의 미세먼지를 여과해주고, 탈취 필터로 유해가스, 냄새를 흡착해요. 반면 음이온식의 경우, 오존 등을 발생시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원리입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11
0
0
다이아몬드가 비싸진 이유는 몰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제 짧은 소견으로는 복합적인 이유입니다. (희소성 + 심미성 + 과시성)희소성이 가장 크기는 합니다만, 심미성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속적인 (심미적 니즈를 벗어난 과시적) 니즈도 그 산업을 지탱해주고 있지요.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2.11
0
0
허리케인이나 태풍의눈 속은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눈의 크기는 태풍의 규모에 따라 ~100km까지 다양한데요, 하강기류로 인해 구름이 생기지 않아 날씨가 맑고 비바람이 불지 않아요, 이론적으로는 태풍 속에 맞춰 이동하면 안전하지만, 태풍의 속도 및 방향에 맞게 우리가 이동한다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바람은 왜 불어오고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은 기온 및 기압의 차이로 생긴다고 보시면 간단합니다.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바람이 붑니다. 기온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불고요.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하늘은 왜 파란색으로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푸른 하늘은 햇빛과 대기 중 공기 분자들 사이이 상호작용의 결과로 요약해볼 수 있어요. 햇빛 중 주로 파란색을 선택적으로 산란시켜 사방으로 흩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눈에는 산란한 파란색을 볼 수 있지요. 공기 분자처럼 미세한 입자에 의한 빛의 산란을 레일리 산란이라보 불러요.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복사열의 원리와 복사열 차단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복사열은 온도를 가진 물질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에 의한 열을 의미하는데요, 은박지와 같은 반짝이는 물질이 전자기파를 반사하게 되기 때문에, 복사열을 차단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1
0
0
하늘에 떠 있는 별 이름 찾는법 따로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관측된 위치에 따라 살펴보아야 하기 때문에 답변으로 바로 응답드릴 수 없습니다. 관측된 사진을 2주간 찍어두시면 확인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북극의 얼음이 다 녹는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북극의 얼음양이 녹는다고 해서, 전체가 다 잠기지는 않습니다. 해안가나 작은 섬들이 물에 잠기는 것으로 보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약 7m 해수면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밤하늘에 엄청 빛나는 별 인공위성 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밤하늘에 인공위성들이 떠다닐 수 있지만, 우리의 육안으로 인공위성을 거의 볼 수 없습니다.인공위성은 엄청 빠른 속도로 지구 주변을 돌고 있기 때문이고, 한 곳에 고정되어 빛나기가 힘들기 때문에 사실상 우리가 육안으로 인공위성을 밤에 볼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밤하늘에 엄청 빛나는 별 중에, 금성도 있고, 목성도 토성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다른 별일 수도 있고요, (관측된 위치에 따라 판단이 필요합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