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실제로 추노꾼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일반인의 노비에 관련되어 추노를 하는 사람을 민간업자는 추노꾼, 관노와 관기 등의 관공서에 관련된 추노를 하는 이들을 노비추쇄관 또는 추노관이라 불렀다. -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9
0
0
자다가 오줌을 싸면 키를 덮어쓰고 옆집에 소금 얻어오게 하는 것은 언제부터 생겨난 것임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소금은 부정을 물리치는 의미에서 ‘정화’를 상징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과거 무당이나 점쟁이들은 소금을 뿌려 잡귀를 쫓아내고 귀신들이 근처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던 것입니다.이처럼 아이가 소금을 얻어오게 하는 것도 아이에게 붙어있는 귀신이 물러가 아이가 다시 건강해지길 바라는 주술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중앙아시아에 국가명에 스탄이 붙는 나라들이 많은데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스탄은 땅. 나라를 뜻하며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梵語)에서 비롯했다. 중앙아시아 초원지대를 오랫동안 석권했던 터키(돌궐)인들도 같은 뜻으로 사용했다. 아프가니스탄(Afghanistan)은 산스크리트어로 '동맹부족들의 땅' 이라는 뜻의 우파가나스탄에서 유래한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카타르 전통의상 질문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카타르의 전통 의상은 금이나 은으로 수 놓은 알-자리(al-zari)나 알-카사브(al-qasab)가 있다. 야성들은 베일을 쓰는데 일곱 살이 되면 베일을 쓰고 사춘기가 되면 알-다라(al-darraa)라 불리는 긴 검은색 옷으로 신체 전부를 감싼다.
학문 /
미술
23.02.08
0
0
우리나라가 일본을 지배했던 적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9세기 초부터 신라 출신 해적들의 일본에 대한 여러 차례의 대규모 침략들이 있었다. 어쩌면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문서에 나오는 신라의 일본 침공 기록들이 모두 다 사실이라고 가정할 시에 신라가 일본을 자주 침공하였기 때문에 이 신라구들 역시 일본의 지리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그 덕분에 일본 여러 지역들을 자유롭게 침략한 것일지도 모른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8
0
0
무관과 문관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무관(武官)은 군사 업무에 종사하는 관료이다. 일반적으로 과거 시험 중 무과 시험(武科 試驗)에 합격한 관료를 무관(武官)이라고 한다.문신(文臣)은 문관인 신하를 가리키는 말로써, 문관은 문과 시험에 합격(급제)하여 출사한 벼슬아치를 뜻한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황순원의 소나기 소설은 우리 문학사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매우 간결한 문체를 사용해 직접적인(일상적인) 대화보다는 짧은 대화와 소년 소녀의 행동묘사를 통해 순수한 사랑을 매우 아름답게 빚어낸 작품.
학문 /
역사
23.02.08
0
0
불교에서 옴마니반메흠이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 진언의 정식 제목은 관세음보살 본심미묘 육자대명왕진언(觀世音菩薩 本心微妙 六字大明王眞言)이다. 너무 길어서 보통 '육자진언'이나 '관세음보살 육자진언'이라고들 부른다. 원문인 산스크리트어를 굳이 직역하면 '옴, 보석 연꽃, 훔'이라고 한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철학
23.02.08
0
0
성경에서 나오는 '셀라'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셀라는 기도나 시편에서 "멈춰서 들으라"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앞 구절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셀라는 아멘과 비슷한 면이 있다. 이 의미에서 셀라는 읽는 이에게 잠시 멈추어서 앞의 내용을 묵상하라는 의미로 생각된다. 위키백과-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08
0
0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국의 신문은 1883년(고종 20년) 10월 31일에 창간된 순한문의 《한성순보(漢城旬報)》로부터 비롯되었다. 한국의 개화운동은 서구문물을 직접 받아들여 우리 것으로 소화한 것이 아니라, 중국, 특히 일본이 일단 수입하여 그들의 것으로 번역, 소화한 것을 다시 수입한 중역적(重譯的) 근대화의 유형으로 굳어졌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8
0
0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