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르후전투에 파병된 조선군은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왜란 이후 야심차게 양성한 조총병 수천명 및 조총 수천정이 이 전투로 증발했다. 왜란이후 조선의 인구도 격감했으며, 수공업과 경제도 별로 좋지 않아 조총병 및 조총을 날려먹은 것이 조선의 국방력에 큰 타격이 되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우리나라의 사물놀이는 어떤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물놀이는 원래 절에서 불교의식 때 쓰인 법고, 운판, 목어, 법종의 4가지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뒤에 이것이 북, 징, 목탁, 태평소로 바뀌었고 지금은 다시 북, 장구, 징, 꽹과리의 4가지 민속타악기로 바뀌었습니다.현재의 사물놀이는1978년 2월 28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 공간사랑에서 김용배가 제안 구성하고 심우성이 이름을 지어 제안한 《사물놀이》 풍물패에서 연주를 한 것이 사물놀이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8.07
0
0
고구려 시대 유유가 죽인 장수가 왕기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사기에서 10월에 관구검이 환도성을 쳐서 무찌르고 장군 왕기를 보내어 임금을 추격케 했다는 부분 때문에 고구려의 충신 유유의 자살 공격으로 246년 죽임을 당했다고 알려져 있으나,삼국사기 밀우, 유유 열전에서는 죽은 장수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고 그냥 '위나라 장수(魏將)'라고 나오며, 정사 삼국지에서는 왕기가 현도군 태수로 고구려와의 전쟁을 마치고 돌아온 후에도 행적이 보이는 것을 봐서는 왕기 본인이 부활 아니라 왕기군의 선봉장이 죽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신라 성덕왕때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성덕왕때 국가의 부역과 조세의 재정비를 위하여 행했던 제도였으나, 실제는 왕이 정말 자기 소유의 땅을 내어준게 아니라, 토지 재조사 후 백성들의 토지 소유권을 승인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유목민족들이 정체성을 상실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목민들의 문화는 소규모 집단의 경영에 특화된 문화였기 때문에 유목민들만의 지식으로는 유목 '제국'을 통치하는 것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을겁니다. 따라서 피정복민의 문화와 지식을 이용해야 하는 근본적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고, 이게 역으로 동화작용을 일으켜버린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중국의 영어이름 china의 유래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이름 china진나라의 발음 chin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며, 다른 한편으로 '비단이 나오는 나라' 라는 뜻의 세레스(Seres)에서 유래했다는설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넓은 양해와 너른 양해 구별해 쓰는 건가요?? 어떨때 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넓다와 너르다의 뜻이넓다: 마음 쓰는 것이 크고 너그럽다.너르다: 마음을 쓰는 것이나 생각하는 것이 너그럽고 크다.이니별다른 구별없이 쓰도 될것같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과거 로마에서 10분의 1형이라는 처형을 썼는데 어떤 때 사용하는 형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십분의 일형이란 로마군의 지휘관이 기강이 해이해지거나, 전장에서 명예롭지 못한 행동을 한 병사들을 단속하는 무거운 형벌의 하나로소속 장병들을 10명씩 나누고 10명 중 한 명을 무작위로 뽑아서 나머지 9명이 뽑힌 한 명에게 짱돌을 던지거나 채찍 또는 막대기로 죽을 때까지 두드려패는 형벌입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신성로마제국이 지닌 영향력은 어느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성 로마 제국은 교향의 권한과 함께기독교 세계의 중심이자 기독교의 실질적 역할을 하였고, 신성 로마 제국은 실제 지배하는 영토의 범위뿐만 아니라 세계질서에서의 위치에까지 힘을 부여받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조선시대도, 우산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도 고려와 같이 벼슬아치만 우산을 사용하였습니다. 서민들은 도롱이를 입고 삿갓을 써서 비를 막으며 일을 하였고, 기름종이로 전모를 크게 만들어 쓰거나 갈모를 쓰기도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8.07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