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옛날 어른들이 써오던 병풍의 유래나 쓰임새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병풍은 한국인의 삶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생활용구였습니다.병풍(屛風)’은 집안에 장식을 겸하여 바람(風)을 막기(屛) 위해 둘러치는 물건이기도 했지만, 그 위에 그림이나 글씨, 수(繡)를 곁들였기 때문에 벽면이나 공간을 꾸미는 장식용으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고려시대에도 과거제도가 존재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있던 과거제도와 마찬가지로 고려의 과거제는 제술과(製述科), 명경과(明經科), 잡과(雜科), 승과(僧科)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술과와 명경과는 조선의 문과에 해당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길드조직의 기원과 역할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유럽의 길드는 일반적으로 중세도시가 성립·발전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상공업자의 동업자 조직입니다. 그러나 길드라는 말은 뜻이 넓어서 그 중에서 공동제사(共同祭祀)·공동주연(共同酒宴)·상호부조(相互扶助)에 의해서 맺어지면서 중세 초기에 일어났다가 없어진 고(古)길드나 나중에는 정치길드 등도 포함되지만, 중세도시경제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뜻을 지니게 된 것은 상인들에 의해서 결성된 '상인길드' 및 수공업자들의 '동직길드(craft guild)'입니다.출처:다음카페
학문 /
역사
23.07.01
0
0
콜키지프리는 어디서 유래된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콜키지 (Corkage) 는 코르크 차지 (Cork Charg) 의 줄임말로, 직역하면 코르크 Cork 에 대해 Charge 비용을 청구한다는 뜻입니다. 콜키지 프리는 이러한 추가적인 비용이무료라는 뜻입니다.
학문 /
음악
23.07.01
0
0
조선시대 화폐는 어떤 것으로 사용했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법화인 종이화폐와 동전은 실용가치를 지닌 쌀이나 베 등의 물품화폐에 밀려나기 일쑤였습니다. 임진왜란으로 인한 사회변동이 화폐경제의 전반적 여건을 조성한 이후에야 '상평통보'를 기반으로 한 화폐경제의 확대보급 추세가 가속화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한니발은 왜 로마의 스키피오에게 진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스키피오는 지략에 있어서도 한니발의 호적수였습니다. 한니발은 여태껏 어떤 장수도 쓰지 않았던 뛰어난 전술을 개발하여 구사했으나, 스키피오는 한니발의 전술을 그대로 터득하고 이를 응용함으로써 한니발에게 승리했습니다. 그리고 스키피오에게는 한니발이 가지지 못한 붙임성도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알프스를 넘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니발이 알프스 산을 넘기로 한 배경에는 그 과정에서 로마와 사이가 좋지 않은 갈리아인들을 한편으로 끌어들이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합니다.알프스를 넘는 과정에서 10만 군사가 4분의 1로 줄었지만, 갈리아 부족에게 다시 인적·물적 지원을 받아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1
0
0
인도네시아의 문화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상대방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주는 문화를 가졌습니다. 상대방이 누구든 들어서 기분 나쁘거나 가슴 아파할 말들은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말을 하는 방법이 우리는 직설적이지사인도인들은 말을 돌려서 합니다.
학문 /
미술
23.06.30
0
0
왜 1주일은 7일인게 전세계 공통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땅을 중심으로 해와 달,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다섯 행성이 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니아에서는인들은 각 시간을 이들 일곱 천체가 관할한다고 생각한 끝에7일을 한 주기로 묶어 사용하게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화랑제도는 신라시대 언제부터 생긴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도로서 화랑도의 시작은 576년(진흥왕 37)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미녀 두 사람, 즉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을 원화(源花)로 삼아 받들게 하였는데, 준정이 남모를 질투해 죽이는 일이 발생하여, 대신 미모의 남자를 택하여 곱게 꾸며 화랑이라 하고 그를 받들게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