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 꽃이 무슨 꽃인지 좀 알려주시겠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산홍)진달래과다보니 진달래 혹은 철쭉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구분법은 잎을 통해 확인이 가능한데, 진달래는 꽃이 잎보다 먼저 피기에 이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철쭉의 잎은 끝이 둥글며, 산철쭉은 잎의 끝이 뾰족하고 잎에 잔털이 있다.
학문 /
미술
23.06.02
0
0
태권도를 외국에 최초로 전파시킨 인물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홍희가 1972년 캐나다로 망명 가면서 북미 지역에서 자신의 '창헌류'를 전파했고, 그 결과 재미 교포들이 운영하는 태권도장의 상당수가 최홍희의 ITF 계열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2
0
0
연등행사의 유래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등회는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에 이미 확인되며,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계속되어왔다. 신라와 고려의 연등회는 불교적 행사였지만, 조선시대에는 민속행사로 행해졌고 해방이후 전통적인 시련, 탑돌이의 행렬 문화가 확대되어 연등행렬로 발전하였다.-출처:국가문화유산포털
학문 /
역사
23.06.02
0
0
덕풋피스톨이라는 총은 실제 해상전투에서 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번에 여러명을 상대할 수 있어서 해군에서 선상 백병전용으로 즐겨 사용했으며, 속전속결로 강습해야 하는 해적들에게도 필수품이었다. 해적들 중 선내 폭동 때 여러명을 상대해야 하는 선장 등 간부급들은 적어도 2정 이상을 몸에 지녔다 한다.-출처:더위키
학문 /
역사
23.06.02
0
0
우리나라 불교는 언제부터 전파되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불교가 처음 한국으로 전래된 것은 고구려 소수림왕(재위 371~384) 2년인 372년으로, 전진(前秦: 315~394)의 왕 부견(符堅: 재위 357~385)이 사신과 승려 순도(順道)를 보내어 불상과 불경을 전하였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2
0
0
폐비윤씨사사 사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종의 잦은 후궁봉작으로 투기심을 느낀 윤씨는 1477년(성종 8)에 후궁 독살 혐의(처소에 비상을 숨겨 두었다가 발각된 사건)로, 성종과 대비들의 진노를 사 폐위하여 후궁으로 강등될 뻔하였으나, 궁인의 죄로 덮어 위기를 모면 하였다. 하지만, 그 2년이 지난 1479년(성종 10)에 투기심으로 성종의 용안에 손톱자국을 낸 사건과 왕비로서의 실덕(失德)함을 이유로 폐위되어 사가로 나가게 되었다. 하지만 폐위가 끝이 아닌 1482년(성종 13)에 윤씨의 죄를 다시 의논하여 결국 사사(賜死)되었다. 이후 성종은 세자 연산군을 생각하여 윤씨지묘(尹氏之墓)라는 묘비와 묘지기 2인을 배치하고, 소재지의 수령으로 하여금 속절(俗節)마다 제사를 허락하였다.-출처:문화재청
학문 /
역사
23.06.02
0
0
삼국지에 나오는 위,촉,오 나라 중에 실제로는 어디가 가장 강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吳, 229년 ~ 280년) 또는 동오(東吳), 손오(孫吳)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의 하나로 친자 3대에 걸쳐 구축되었다. 위촉오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건국되었으나, 가장 오랫동안 존속하였고 가장 나중에 멸망하였다. 손견(孫堅)과 손책(孫策)의 맹활약으로 강동에 기반을 잡았고, 수성의 달인인 손권(孫權)을 통해 제국으로 발돋움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2
0
0
팔공산이 국립공원 승격 이후, 천제단 복원 중점을 두는데 천제단의 역사적 의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공산 천제단 복원은 지난 20년 동안 지역사회와 학계,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꾸준히 추진해 왔다. 대구 동구 팔공문화원은 2015년부터 비로봉에서 한 해 첫 차(茶)를 준비해 격식에 맞게 올리는 '헌다례'를 봉행하고 있다.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정상부에 쇠말뚝을 박았던 아픈 기억을 지우고 천제단 복원을 통해 팔공산의 정신을 되살리겠다는 행사다. -출처:영남일보
학문 /
역사
23.06.02
0
0
우리나라의 천문관측대는 언제 처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최초의 현대적인 천문대는 1974년 박정희 정부에서 대통령령으로 설치한 국립천문대[3]로, 1978년 단위부서인 소백산 천체관측소로 처음 개관되었다가 1986년 소백산 천문대로 개칭되었다. 이후 1999년 국립천문대가 한국천문연구원으로 독립하면서 산하 천문대가 되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2
0
0
조선시대 후기 화가 김득신에 대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초도 첨절제사(椒島 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자연과 풍속화를 잘 그렸는데 심사정, 정선과 함께 영조 때의 삼재(三齋)로 불렸다. 화적으로는 덕수궁 미술관 소장 <곽분양자 행락도>(郭紛陽子 儀行樂圖),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부취도>(扶醉圖), <귀시도>(歸市圖), 간송 미술관 소장 <풍속화첩>, <숙상야우도>(潚湘夜雨圖), 개인 소장 <오동 폐월도>(梧桐吠月圖) 등이 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6.02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