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4대보험 / 납부 예외(유예), 납부재개 신고 후 취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5~6월 무급처리한 보수가 9월 이후에 지급된다면 건강보험은 다음년도에 정산하여 부과됩니다. 국민연금은 납부예외기간만큼 가입기간에서 제외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휴직자 급여 계산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6일 분의 급여에 대하여 일할 계산한다면 ‘월급액/역일수×1월 미만의 근무기간’ 또는 ‘월급액/소정근로일(근로일이 아니나 유급으로 처리되는 날 포함)×근로일수(근로일이 아니나 유급으로 처리되는 날 포함)’의 방법으로 일할계산합니다. 3,000,000원/31일*6일로 계산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육아휴직 퇴사후 장거리 실업급여에 해당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회사의 이전으로 출퇴근에 3시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하지만 근로자가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는 수급사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배우자나 부양하여야 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의 경우 인정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은 관련 입증자료 검토 후 판단을 받아야 합니다. 관할 센터 담당자를 통해 필요한 서류 등을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8
0
0
주휴수당 지급 받을 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이상인 경우, 해당주를 개근하여야 받을 수 있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이 8시간인데 일회적으로 추가근무를 한 경우는 주휴수당의 대상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급여 공제시 일할계산으로 공제하면 적게 공제하는 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월급제 근로자의 일할계산시 일한 시간에 대한 임금의 계산과는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별도의 자체규정이 없다면 근로일수에 대한 일할계산 지급방식을 행정해석에서 인정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회사 입사 후 인턴기간도 퇴직금 산입기간에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근로자가 입사한 날로부터 퇴사일까지가 계속근로기간이므로 수습이나 인턴기간도 퇴직금 산정의 계속근로기간에 포함됩니다.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365)로 계산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입사 다음날 퇴사하면 손해배상 청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입사한후 1일만에 퇴사한다고 하더라고 벌금을 내는 등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규정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7.18
0
0
육아휴직 분할사용 관련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육아휴직의 연장사용은 1회 가능합니다.(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제12조 제2항) 이는 육아휴직의 분할사용이 2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는 규정(남녀고용평등법 제 19조의4) 과 별도로 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므로 육아휴직 연장과 분할은 별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7.18
0
0
초과수당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초과근무를 무급으로 하기로 약정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위반입니다. 당사자간의 합의가 있었다고 주장하더라도 임금체불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아르바이트 주휴수당이및 휴일근로수당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주5일 일6시간 근무가 고정적이고 주말에 가끔 연장근로를 하는 경우는 주휴시간이 6시간입니다. 주휴수당은 6시간*시급으로 계산합니다. 휴일에 근무하는 경우 일한시간*시급*1.5(상시근로자 5인이상 사업장의 경우)로 계산합니다. 세금에 관하여는 사대보험 가입방법이나 신고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회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7.18
0
0
1855
1856
1857
1858
1859
1860
1861
1862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