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2035년까지 NDC 목표가 53~61프로로 정해졌다고 하는데요 온실가스는 무슨 가스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온실가스는 지구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가스로 지구에서 만들어지는 복사에너지를 흡수 하여 다시 지구 대기중으로 반사시키는 기체들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지구의 온도를 유지시켜 지구가 인류가 살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 주는 중요한 물질 입니다.하지만 인류의 활동을 통해 만들어낸 온실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지구에서 만들어지는 열이 너무나 많아져 지구가 온난화 되고 있습니다.주요한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가 있으며 다음으로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등이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1.11
0
0
미술분야에 투자한다면 어떤점을 중점으로 봐야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일단 그림에 대한 안목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너무 광범위한 내용이라 단기간에 배우고 익히기가 어렵습니다.보통 작품의 가치는 작가, 소장처 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먼저 작가의 이력을 보셔야 합니다. 졸업학교, 전시경력, 국내외 레지던시 경력, 수상 경력 등이 있습니다.그리고 소장처도 중요한데 해당 작가의 다른 작품이 국립이나 시립미술관에 소장되고 있다고 하면 가치가 아주 뛰어납니다. 아니면 특정 갤러리에 소속이 되어 있는것도 작품의 가치가 높다는 것을 반증 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25.11.11
0
0
전기 코드에 있는 쇠는 어떤 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전기코드 끝에 있는 금속은 구리이며 녹이 잘 슬지 않도록 니켈 도금을 한 상태 입니다. 명칭의 경우는 코드 : 플러그아울렛 : 콘센트전기코드 : 코드세트 라고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재료공학
25.11.11
5.0
1명 평가
0
0
옛날 종이 관리하는 법을 알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종이는 아시다시피 수분, 햇빛, 온도변화에 민감합니다. 공기중에 노출시 자연스럽게 산화가 진행되기에 관리를 잘하셔야 오래 보존 할 수 있습니다.일단 물리적으로 마찰에 의해서도 손상이 생겨 수명에 영향을 미치니 손으로 만지는 것도 주위하시고 만져야 하시면 장갑을 끼고 만지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보관도 비닐과 같이 화학물질이 나오는 재료가 아닌 동일한 하얀 종이와 같은 천연재료 속에 보관을 하시고 햇빛이 들지 않는 그늘에 보관하셔야 합니다.그리고 보관하는 곳의 온도와 습도가 자주 변하지 않는 곳이 좋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공학
25.11.11
5.0
1명 평가
0
0
그림 3점에 대하여 감정 또는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작품의 검정은 실물을 보고 하는 것이 원칙 입니다. 물론 가볍게 검정을 원하셔서 낙관을 찍어주신 것이겠지만 사실 낙관만으로 판단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실제로 동양화, 한국화를 검정해주는 기관이 한국에 3곳 정도가 있습니다. 사실 한국의 미술시장은 주로 서양회화가 중심이고 한국화는 시장이 크지 않은 점도 있습니다. 한국화랑협회,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가 그나마 인정을 받은 곳인데 나머지 동양화 검정을 하는 기관이 엄청 많아서 시장이 혼탁한 부분도 있기 때문입니다.제대로 감정을 받기 위해서는 위의 3기관을 이용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일제시대의 그림이라고 하면 최소 100년 가까이 지났을 것인데 비단이나 종이가 매끈하게 유지가 잘 된 것을 보면 그것보단 더 최근에 그려진 작품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25.11.09
0
0
14k골드 금반지 상태 좀 봐주세요 얼룩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14k 라 얼룩이 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14 k 는 순금이 아니고 합금 입니다. 금 50~60 정도에 구리, 은, 아연 등이 섞여 있는데 해당 합금 성분 때문에 땀이나 화장품, 비누 등과 반응하면 산화되어 이런 얼룩이 생길 수 있습니다.세척제로는 지울 수 없고 구매한 곳에 가서 열처리 등을 해서 지우셔야 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끼고 계실거면 사용하지는 특정 화장품이나 비누 등에 의해서 다시 산화되고 얼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
25.11.09
0
0
똑같은위치를찍었는되무늬가달라진이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단열 벽지와 장판 사이네요겨울철 난방 열에 의해서 단열벽지 처럼 보이는 폴리우레탄 폼과 pvc 비닐과 같은 재료는 열에 의해서 구부러질 수 있습니다. 겨울이라 난방을 하게 되면서 해당 부분이 열을 받아 휘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25.11.09
0
0
예술가라는 것은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 이십니다.생성형 인공지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보니 그것들이 만들어 내는 이미지들을 보고 많이들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 것 같습니다. 너무나 손쉽게 이미지들을 만들어 내다 보니 더이상 창작자가 필요한 것일까란 의문이 들게 됩니다.하지만 과거 카메라가 발견되고 난뒤에도 예술가들은 존재 했으며 인공지능이 발전을 해도 창작가인 예술가들은 존재합니다. 창작은 창조 이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이 아무리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지언정 사람의 지시를 받고 만들어내는 이미지 이기 때문에 사람처럼 무에서 유를 창조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현재도 많은 예술가들은 일찍부터 인공지능이나 vr 과 같은 것들을 창작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것들은 한낫 도구일뿐 절대 창작가들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미술
25.11.09
0
0
21세기의 한국 자연환경이 여전히 과거에 만든 24절기에 부합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부합하지 않습니다. 계절을 24개로 나눈 것 역시도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중국 한나라에서 만들어진 개념을 받아들인 것입니다.해당 절기 역시도 태양의 위치 및 별자리의 위치를 조합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계절과는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당시엔 농업 중심의 사회라 농업의 진행 과정에 맞춘 계절구분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실제로는 입춘 같은 2월이 특히나 아직 엄청나게 추운데 봄의 시작이라 하는 것은 시기가 빠른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겨울이 짧고 따뜻해 졌기 때문도 있고 도시화의 확장으로 도시와 지방의 기온차이가 큰 부분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환경·에너지
25.11.09
0
0
실리콘 그리스 인체에 무해하고 지울수 물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방금 답변을 드렸는데 삭제가 된거 같습니다.그리스는 윤활제의 역할로 지방덩어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특히나 실리콘 계열의 그리스는 인체에 무해합니다. 실리콘은 주방용품이나 아동용품으로 사용될 정도 이기 때문입니다.손에 묻으실 경우 비누로 쉽게 지우실 수 있으나 손에 묻지 않게 하고자 하시면 사용전에 수술용 라텍스 장갑을 착용 후 작업하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학문 /
화학
25.11.06
5.0
1명 평가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