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금리인상은 물가가 무조건 상승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 인상은 화폐가치를 올리는 것이기 떄문에 물가가 내려갑니다.현금을 들고 있는 것보다 보다 안전자산인 은행에 예,적금하시는게 더 유리하죠.무조건이라는 것은 없습니다.주식, 부동산이 바닥이라고 판단되고 내가 정말 괜찮은 주식이라고 생각되면 사는 것이고 아니면 현금 들고 있는겁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4
0
0
우리나라 금리를 결정하고 발표하는 기관은 어딘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국은 한국은행이 발표합니다.여러 지표를 종합하여 기준금리를 발표하죠.인베스팅닷컴에서 날짜는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4
0
0
미국 금리인상 fomc는 발표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1~2달 주기로 하는데요. 정확한 날짜는 인스베팅닷컴에 캘린더에서 다양한 지표를 확인하실 수 있으니참고하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2.04
0
0
주식차트에 지지선 저항선이 왜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원리는 없습니다.세력들 마음이죠.대부분 지지선은 세력들의 최소한의 이익선이라고 보시면됩니다.지지선이 생겼다는건 세력들의 평단에 가까웠다는 것이고 그것을 막기위해 다 담는 것이 있고또 하나는 세력들이 기업의 최하가가 지지선이 이정도다 하면 거기서 물량을 다 받아내려고 하는 것도 있습니다.바닥에서 싹 모은는 것이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4
0
0
Web 3.0 은 무엇이구 특징이 머가 있을까여?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웹3는 기존 웹1,2 인 점,선,면 2차원으로 만들어진 공간문자,영상,이미지에서3차원 공간에서 직접 소통할 수 있게하는 기술을 말합니다.이 기술이 쉽게말해 메타버스 세상이죠.앞으로 점차 많은 분야에서 메타버스인 가상공간에서 공간의제약없이 일하여 효율을 극대화할 것입니다.단순히 게임으로 보시면 안되고멀지 않은 미래에 중심이되는 산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04
0
0
주식은 왜 매도하고 3일후에 출금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이라는 것이 1:1간의 거래가 아니기때문입니다.판매자 거래소 구매자 판매자가 거래소에 내놓고 구매자가 사면 거래소에서 주식 취득을 하게되뵤.반대로 판매자는 거래소에서 판매금을 받는 것이니거래소에서 예수금을 정리하고 안정적으로 돈을 지급 하기 위함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4
0
0
어느 정도의 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중산층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중산층에 대한 정확한 기준은 없습니다.그러나 대략적으로 소득수준과 부동산으로 보자면 소득수준을 백분율로 50% 중위소득에 속한 사람들이고 대략적인 수치는 월 380~1,200만원 입니다.부동산은 평균 8억대 이상 소유한자를 말합니다.중산층에 대한 범위가 워낙 넓고 통계적인 것 뿐입니다.제 생각에는 소득은 500만원~2,000만정도에 , 부동산 가치로 10~30억 정도는 되는 분들 이라고 보이네요.
경제 /
대출
23.02.04
0
0
금리가 조금씩 내려가던데, 경제가 좋아지고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은행 금리를 내리는 것은 금융감리에 약간의 제재와 금리를 낮춰 대출환수율을 높이고자 위함입니다.지금 현재 5.2% 물가로 에너지원의 물가를 올렸기 때문에 더 힘들어지고 앞으로 0.25% 정도는 더 올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고금리현상은 동결로 이어지나 감소는 안될 것이고 2023년 경제 침체는 이미 예고 되어있습니다.최소 이번년 1년정도는 고통이 있을 것이고 인내의 해가 될 것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4
0
0
경제용어중 Cpi지수라는 것이 있던데, 무엇을 나타내는 지수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custo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 지수 입니다소비자가 소비하는 수백가지 상품군을 전년대비하여 상하여부를 지수로 나타낸것입니다.보통 경제성장률을 2%대인 것을 고려하면적정 cpi는 1~2%가 적당한데지금과 같이 전년대비 5~6% 너무 높은 물가는 경제침체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04
0
0
소비자 물가하고 긴축하는거하고 무슨 상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긴축정책 없이 물가가 폭등한다면 국민들은 물론 나라 전체가 경제위기가 올 수있습니다.화폐로 돈을 태워 겨울을 보낼 수도 있는 시대가 올 수있죠.긴축을 통해 화폐가치를 올려 물가상승을 막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예전 초고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고통의 역사를 찾아보시면 확 와닿으실겁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4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