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어떤 정책을 펴야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사실상 금리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물가잡기위해서 다른 정책은 보통 감세 입니다. 유류세인하가 대표적이죠. 그 밖에 갑자기 오르면 타격이 큰 부분을 감세하여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뎌디게 하여 수입물가가 안정될 때까지 버티는 겁니다.일시방편이지만 과거에도 그렇고 고물가시대에 금리인상 말곤 방법이 없습니다.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순 없기에 그나마 엄청난 침체를 막기 위해 파월은 매파적으로 가는 것이구요. 그래도 7%대로 내려온 것을 보면 빠르게 내려오고 있고 인상률도 감소했습니다. 수입물가도 고점찍고 15% 정도 낮아진 것을 보면 2023년 하반기엔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대출
22.12.26
0
0
내년에는 경기가 더 안좋아질까요? 넘 걱정이네요..코로나때보다 더 힘든것같네요..ㅠㅠ 언제쯤 경기가 좋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직 금리인상이 계속될 예정이고 그만큼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하반기는 되어야 전환점이 올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고 최대한 돈이 안나가게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6
0
0
경제에 대해 공부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처음부터 자격증 따듯이 외운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꾸준히 접하는게 중요합니다. 주식, 경제 책들이 있습니다. 기초적으로 한 권씩은 읽어 용어와 친숙해지시고모의 주식이나 소액으로 조금씩 사보면서 왜 오르지? , 왜 떨어질까?, 제무제표는 어떻게 보지?, PER는 뭐지? 이런 것들이 저절로 궁금해지는게 생깁니다.용어에대해 공부하고 경제흐름을 알고 내가 투자한 회사 IR , 홈페이지 , 검색 등을 통해 계속 접하다보면 조금씩느실겁니다.처음에 돈 따볼려고 차트 공부부터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런 것보다 현재 경제상황, 돈의 흐름, 미래 어떤 산업이 발전가능성이 있는지를 전문가들 의견을 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6
0
0
금융단어에서 양적완화, 테이퍼링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자면양적완화 - 경기가 어려울 때(이번처럼 코로나시기) 통화량을 늘려 경기를 부양 시키는 것테이퍼링 - 끝을 뾰족하게 가다라고 해서 풀었던 통화량을 줄여 화폐가치를 높이고 인플레이션을 낮추기위한 정책급속도 테이퍼링을 하는 이유는 양적완화때 과도하게 통화량이 풀렸고 그로 인해 물가가 무려 9%까지 치솟아서 그렇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26
0
0
특정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금을 주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상장회사는 주주없이는 회사도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주주가 회사의 주식을 사고 가격이 올라야 회사도 그만큼 성장할 수 있습니다.배당금은 주주에게 이익잉여금을 일정량 분배한다는 것은 회사가 그 만큼 성장하고 견고하다는 뜻도 됩니다. 기존 주주들에게 이익을 주고 신규 투자자 유치, 기존 투자자들의 재투자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배당금지급과 늘리고 있다면 자연스레 주식 가격도 오르게 되어있어서 회사에서도 오히려 이득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6
0
0
산타랠리라고하는게 실질적으로 어떤걸 의미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연말에 일시적으로 시장이 활성화되어 증시가 활기를 띠는 것입니다.연말 보너스, 송년회, 회식, 기념일선물 등 소비가 증가하고 기업의 배당금 기대심리로 인하여 증시에 돈이 들어 옵니다. 그렇게 오르다 배당락때 팍 떨구죠.그런데 이건 경기가 좋을 때 얘기이구요. 꼭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이번 년은 경기불황, 무역적자, 고인플레이션, 전쟁 이라는 경제리스크가 많은 만큼 산타랠리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6
0
0
오른 물가가 내린적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라는 것은 단순히 가격이 오르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소득대비 가격이니까요. 한국의 경제성장으로 gdp가 오르면 그만큼 가격은 오르겠지만 임금도 상승하고 화폐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가격적인 것만 본다면 계속 오르지 내리진 않습니다.물가는 2~3%를 유지하면서 꾸준히 올라가는 것이 나라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26
0
0
담보대출금리 더 낮추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인하요구권이라고해서 회사에서 승진, 신용점수가 좋았을 경우 은행,금융사에게 대출금리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주거래은행이 있다면 좀 더 확률이 높겠죠?2021년 기준 수용률이 가장 높은 은행은 농협 95% , 낮은 수용률은 우리은행 63%입니다. 그러나 어디까지 은행,금융사들이 정해놓은 조건들이 있기 때문에 은행사와 상담 후 절차가 있는지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
대출
22.12.26
0
0
주식 배당락일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배당락일전날까지 매입하셔야합니다. 배당락일에 매입하는 주식은 보유 주식으로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6
0
0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다시 경제가 상승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전쟁으로 인해 많은 세계적으로 경제산업이 주춤했기 때문에 종료시엔 엄청난 상승기대심리로 증시가 활성화될 것입니다.주식이나 코인이나 전부다는 아니지만 전체적인 지수가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6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