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B2B, B2C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업과 기업과 상호 계약을 맺고 거래를하는 것 b2b기업과 소비자간의 계약거래 b2c 입니다.b2c는 예를 들면 고객이 멤버쉽 가입하는 것으로 보면 고객은 멤버쉽가입으로 비용을 지불하고회사는 고객에게 많은 혜택을 주는 것 으로 보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5
0
0
미국 cpi와 ppi는 무슨 뜻이고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cpi - 소비자물가지수ppi - 생산자물가지수 입니다.앞으로의 주요 정책들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물가지수에 따라 현 경제상황이 어떠한지 알 수있고 금리인상여부가 결정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5
0
0
'비둘기'파는 정확히 어떤 의미입니까?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매파적 - 매처럼 날카롭게 급진적이고 독자적으로 정치,운영,판단 등을 하는 성향비둘기적 - 온순,평화라는 의미에서 여러의견과 최대한 다 좋은 방향으로 가는 성향둘 중 답은 없습니다. 매파는 돌파구를 찾기위해 한쪽의 고통은 감수하는 것이지만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비둘기파는 어디 한쪽에만 쏠리지않지만 변화가 뎌딘 단점이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5
0
0
IMF때의 흐름과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당시 나라가 흥청망청 쓰고 외환관리를 전혀 하지 않아서 IMF 사태가 벌어졌고금모으기 캠페인, 외국인투자를 넓혀 4년만에 외환 빚을 갚고 회생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다수의 기업부도와 경제침체로 정말 어려웠다고 합니다. 자살하는 사람도 많구요.지금은 외환보유액이 그때에 비해 몇 십배는 많은 상태이고 과거를 아니 계속적인 관리하고 있어서 고통은 있겠지만 IMF 정도 까지는 안올거라고 예상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4
0
0
인플리에이션?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 입니다.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는 코로나때 과도하게 돈이 시장에 풀렸고 그로 인해 적정 물가 2~3%인데 미국은 9% , 한국은 5% 까지 올라 금리인상을 통해 화폐가치를 상승시켜 물가를 잡을려고 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24
0
0
'긱 워커'라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프리랜서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되구요. 사실 그렇게 구분해서 쓰질 않습니다만굳이 통용해서 쓰는 의미는프리랜서는 일정 집단이나 회사의 전속 되지 않은 채 일을 받아서 일하는 사람긱 워커는 일정 기간(보통3~1년 단위) 계약을 맺고 그 회사에 전속, 소속되어 전문적이고 중요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성과를 내는 사람을 말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23
0
0
베블렌 효과는 정확히 어떤 개념입니까?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베블렌효과는 가격도 있지만 제일 중요한 개념은 허영심, 과시욕구를 채우기 위해 나온 소비 증가 효과입니다.사람은 아이러니하게도 차별 받기 싫어하면서도 차별 받아 우월감을 얻기를 원합니다.그래서 등급제가 있고 vip 룸, vvip 혜택 등이 존재합니다.롤스로이스가 대표적인 쉬운 예이죠. 돈이 많다고 해서 살 수 있는 차가 아니라 조건 심사를 해서 그 명성에 맞는 지위가 있는 자에게만 판매합니다.필수재, 기펜제도 마찬가지로 필수재라고해도 남들이 함부로 못 갖는 브랜드, 가격대, 일정 이상 지위만 판매한다는 조건 등이 있다면 돈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비싸더라도 사는 것이고 이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3
0
0
산타랠리라는게 무지성으로 올라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산타랠리는 무지성으로 올라가는건 아니구요. 경기가 보통이거나 좋을 때 12월 연말,연시 소비가 많아지고 보너스, 기업 매출이 증대, 배당 기대 심리로 증시가 활성화되어 산타 선물이라는 개념에서 산타랠리입니다.하지만, 지금 같은 경우는 경기침체국면으로 접어 들고 있어서 거시적악재(전쟁)이나 회사도 조심하고 있고, 소비심리가 굉장히 위축되어 있는 상태라 이번년도 산타랠리는 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3
0
0
금리와 물가 인상시 급여가 오르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와 금리가 올랐다고 하여 급여가 바로 오르진 않습니다. 한국은 대부분 회사에서 연봉제, 최저시급도 년 단위니까요.또한 급여 인상은 거시적 경제뿐만 아니라 회사 내 사정과 개인 능력 차 등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고려하여 정하기 때문입니다.내년엔 최저시급인상과 물가 상승으로 오를 가능성이 높겠지만 기대하시기엔 다니고 계신 회사 사정이 어떤지 들여다 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23
0
0
국내 브래드 삼성.엘지전자 tv는 왜 미국서 더 쌀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모든 부품이나 상품 자체가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이면 시장규모의 차이 때문입니다.첫 번째는 시장규모가 크면 클수록 소비할 사람들이 많다는 얘기이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두 번째는 미국이라고 무조건 다 싼건 아닙니다. 한국은 세금이 전국 공통인 반면에 미국은 시마다 세금이 다 다르고 어디는 배송비를 붙이냐 안붙이냐, 또 저희가 모르는 세금을 붙일 수도 있고, 반면에 한국에는 붙이지만 미국에서는 안붙일 수도 있기 때문에 가격차이가 발생합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