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이나 코인 등 현물거래 선물거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현물은 말그대로 현시세에 샀다고 생각하시면되고 현시가에서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그러나 선물은 말그대로 미래시세를 일정기간을 투고 선으로 사서 기간이 지나면 갚는 형식입니다.내가 오를거라고 생각하고 롱포지션(예를 들면 시세*3, *5배씩)에 잡았다가 기간만료시점에 내려가면 손해를 보는거고 오를경우 먹는거죠. 선물의 가장 큰 단점은 기간 뿐만아니라 청산가가 정해져있기때문에 청산가 이상으로 가면 돈이 말 그대로 삭제가 되어 큰 손해를 입게 될 수 있습니다.전문가는 향후 여러가지 수치를 측정하여 미래예측해서 선물투자라고 하지만 일반사람들에겐 그냥 도박일뿐 입니다. 하실생각이시라면 극소액 혹은 절대 하지 않으시기를.. 세력이 아닌 이상 처음엔 따도 결국엔 잃게 되어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0
0
0
대한민국 금리가 미국 금리가 낮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외화 유출은 있지만 당장 급하게 올릴 수 없는 것은 금리 인상을 현재 경제상황과 상관없이 과도하게 할 경우 기업부채, 가계부채가 급증하게되며 부채는 높은데 가계수요 감소하니 결국엔 기업도산은 물론 서민 경제가 붕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미국 금리와 경제상황을 살피면서 올리는 것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9
0
0
한국금리가 미국보다 현재 낮은데 미국보다 무조건 높아야한다는 말은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단순하게 생각하면 답이 보입니다. 내가 투자자다 라고 가정하면 한국에 돈을 넣어 놓는 것보다 미국에 돈을 넣어 놓는 것이 이자를 많이 준다는데 거길로 안갈 이유가 없죠.금리가 낮으면 달러가치보다 원화가치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자본 유출이 심해지고 해외 투자가 줄면서 기업 경쟁력이 낮아질 수 밖에 없어 전체 한국 경제가 안 좋아지게 됩니다.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따라갈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2.12.09
0
0
금리와 주식시장 주가의 관계는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간단히 보시면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가계부채, 기업부채가 상승 -> 구매감소, 재고증가, 매출감소로 성장세가 낮아지죠. 예상을 해보면 기업에게 부채가 가중되고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고또한 굳이 불안정하게 손해보면서 주식에 투자보단 이자 높은 은행으로 돈이 가기 때문에 자연스레 주식은 하락이 오게 됩니다.무조건 금리가 오른다고 주식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면 지금 같은 때는 코로나때 너무 돈을 과하게 풀었고 엄청난 대출과 더불어 은행이자보다 주식 배당이 높으니 주식이 폭등하여 조정인 것으로 보시면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금리의 하락과 주가의 하락 연관성
안녕하세요.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주식 가격이 금리에만 의존할 순 없기 때문입니다.보통 금리하락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기 때문에 자연스레 오를 가능성이 높지만 세상엔 엄청난 변수가 많기 때문에 금리로만 보시면 안됩니다. 금리가 낮다고하여 경제상황이 좋은 것은 아니거든요. 일본을 예로 생각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또한 우리가 금리가 하락한다고 한들 다른 나라보다 높을 수도 있는 상대적인 것도 계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자이언트스탭,빅스탭등 금리 인상과 관련된 용어들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자이언트,빅스텝 이라는건 외국에서 안쓰는 용어이고 공식용어가 아닙니다.국내 금융가 사람들이 숫자로는 안와닿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낸 은어같은 용어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06
0
0
하락장에서 멘탈잡는 방법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지금 같은 장에서는 차라리 주식보다 적금,예금을 추천드리는데하시겠다고 하면 소액으로 하시면서 하락 오면 추가 매수하여 물타거나 적어도 2~3년 뒤를 생각 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현재도 미국기준 물가상승률이 7.7%로 가파르기 때문에 대부분 전문가들은 내년 초중까지는 인상폭을 낮추겠지만 계속해서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고 바로 떨어지는 것이 아닌 금리 동결로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5
0
0
재테크로 주식과 적금중 어떤게 더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둘 중에 하나만 하시는 것보다 3:7 4:6등으로 분산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지금같은 장에선 적금,예금 금리가 높기 때문에 유리하지만주식 같은 경우 바닥권이라 미래 전망 좋은 주식을 조금씩 모아가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저도 적금 6 , 주식 4 로 모으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5
0
0
금리가 올라가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부동산 시장은 지금 같은 버블엔 결국엔 내려갈 수밖에 없습니다.높은 금리로 인해 대출금 이자가 늘고 대출규제가 심해지면서 자연스레 집사려는 수요자는 줄고 팔려는 공급자는 많아지니 가격이 내려가게되죠.아직 금리인상이 끝난 것이 아니고 올라간 금리는 바로내려오지 않기 때문에 더 하락세가 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대출
22.12.04
0
0
한국에 경제 어떤가요 다시 괜찮아질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상승에 무리한 영끌족들의 대출, 금리까지 상승하니 가계부채가 높아진 것 사실이고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그러나 imf 당시와는 다르게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비교하면 몇 배는 많습니다. 물론 경상수지 , 수출적자로 인하여 그게 조금씩 줄어들게 되겠지만 imf 정도의 엄청난 심각한 상황은 현재 아닙니다.경제전문가들이 2023 한국 경제 침체를 예고하고 어려운 국면에 접어드는 건 사실이겠지만 현재 인플레이션률이 고점을 찍고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보면 imf당시 정도까진 안 올거라 예상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2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