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격증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시켜서 재충전 하면 수명이 달라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배터리의 방전상태에 따른 충전이 배터리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즉 100%를 쓰고 충전하던 50%를 쓰고 충전하던 배터리의 수명과는 무관한거죠.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2.26
0
0
우리가 아는 바다생물은 고작 1%정도 밖에 안된다고 알고있는데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의 반이상은 바다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직접도달할 수 있는 수심도 몇백m에 불과해 심해까지는 도달할 수도 없고 그 안의 생태계를 파악하누도 없죠.깊은 수심의 압력을 견딜수있는 특수 재질의 금속이 발견되면 더 많은 생태계가 밝혀질거라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26
0
0
AI로봇에 대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AI는 인공지능으로 변수가 없는 정형화된 작업장에서는 머지않은 미럐에 활용될것 같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시스템에 의해 움직이는 직업군에 많이 적용될 것 같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2.26
0
0
노화를 억제하는 방법이 과학적으로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노화의 억제방법에는 과학적으로 몇가지가 있습니다.이중에 간헐적 단식과 신체의 면역체계 개선법이 있습니다.이외에도 조직공학이라고 손상된 세포의 재생 및 회복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건 값이 비싸고 성공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26
0
0
술을 먹으면 왜 헤롱 거리는지 과학적으로 설명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술을 마시면 간에서 술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가 생성된고 이게 물과 아세트산으로 분해되 소변으로 배출됩니다.이과정보다 술흡입량이 빠르면 술에 취하게 되고 심하면 다음날 숙취까지 남게 되는거죠.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2.26
0
0
겨울에 태어나면 추위에 강하다는 것이 과학적 근거가 있는 이야기 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태어났다고 추위에 강한건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4계절이 있기때문에 겨울에 태어난게 생물학적 변화를 야기하지는 않죠.단 추운지방에서 태어나면 인체가 열을 더 확보하려고 적응해서 신체에 피하지방이 두꺼워지는등 추위에 강할수는 있습니다. 러시아나 북유럽이 이에 해당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26
0
0
지구 온난화로 지구의 온도가 1도 올라가거나 1도 내려간다면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1도 낮아지면 극지방은 빙하의 범위가 넓어지니 일반선박들이 극지방 근처를 지날 때 빙산과 만나는 확률이높아지면서 침몰 가능성이 꽤 높아지겠네요. 그리고 극지방에 살던 생물이 적도를 향하여 이동함으로 해상생태계의 변화를 야기시켜 생태계 교란이 일어납니다. 이런변화가 이로울리는 없을거라 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26
0
0
과학적으로 말이 되는 초능력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아는 과학적 지식으로는 초능력은 과학적으로 아직까지 입증되지 않은 초 자연적 능력으로만 알려져 있습니다. 영화나 소설로는 이런것들이 흥미를 유발하도록 표현되어 있지만머지 않은 훗날에는 밝혀지고 입증될거라 믿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26
0
0
우리가 먹는 수돗물 정수체계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정수의 상세과정은 아래와 같이 8가지 정도로 나뉩니다.1. 착수과정2. 혼화과정3. 응집과정4. 침전과정5. 응집과정6. 정수과정7. 배수량 조절과정8. 공급과정이런 정수과정으로 가정에서 안전하게 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26
0
0
탈모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탈모믜 원인은 크게 3가지입니다.첫째는 부모와 조상에 의한 유전적요인입니다. 둘째는 스트레스로 스트레스 호르몬이 혈관을 수축시켜 긴장된두피에 영양공급 부족으로 인해서 생깁니다.셋째는 지방위주의 식습관 혹은 음주 흡연에서 기인됩니다.유전학적이 아니라면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26
0
0
1243
1244
1245
1246
1247
1248
1249
1250
1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