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2006년 중국으로 수출한 화요 제품 재수입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질문자님께서 문의주신 화요 제품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해당 물품의 HS CODE에 따라 해당 물품을 수입할 떄 국내에서 세관장확인대상 수입요건이 있는 제품인지를 검토한 후 국내에서 법령에 따라 수입할 때 일정 요건이나 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이라면 해당 인증이나 요건을 취득한 후 수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재수입 면세는 수출한지 오래되어 받을 수 없고, 일반적인 통관 수입신고를 진행한 뒤 관부가세를 납부하고 수입이 가능 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6
0
0
수입세금계산서 발행 시 홈택스에 자동 등록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관세청에서 발행된 수입세금계산서는 홈택스에서 조회 및 매입세액공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매입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홈텍스에서 수입세금계산서 조회 및 출력하여 부가세 신고 시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에 해당 내용을 기재하여 부가세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부가세 신고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세무 분야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6
0
0
미국 다른지역에서 배대지를 통한 직구 관세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합산과세의 경우에 하나의 BL로 선적된 제품을 분할 통관하는 경우 합산과세가 될수 있으며, 동일한 해외거래처로부터 구매한 물품을 분할하여 통관하는 경우에도 합산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문의주신 상황의 경우 물품 판매자가 다르고, 각각 다른 BL로 선적되어 우리나라에 운송되어 신고되는 것이므로 각각 목록통관으로 200달러 미만으로하여 수입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6
0
0
공정무역은 어떤것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공정무역은 개발도상국의 생산자들이 공정한 가격을 받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돕는 무역 방식입니다.그 핵심 원칙은 공정한 최저 가격 보장, 추가적인 프리미엄 지불, 아동노동 및 강제노동 금지, 환경 보호, 투명성 및 민주적 의사 결정으로 합니다. 공정무역의 장점 개발도상국의 생산자들의 삶 개선, 지속가능한 발전, 소비자들의 윤리적 소비 등이 공정무역으로 물품을 구매할 때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다만, 그만큼 공정무역을 통한 거래에는 비용이 수반되므로 잘 참고하시어 거래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6
0
0
usb타입의 벽걸이 led시계같은경우 kc인증이 필요없죠??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네 맞습니다. USB 타입의 LED 벽시계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전기를 끌어다 쓰는 220V 전압 코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전기안전인증이 필요 없습니다. 다만, 일정 수준 이상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LED 시계의 경우에는 전자파 적합성 인증을 받아야 하므로 국립전파연구원을 통해 해당 LED 벽시계가 전파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인지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kc인증을 국내에서 받으려면 일반적으로 전동드릴의 어떻게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일반적으로 국내에서 KC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관세사를 통하지 않고 행정사를 통해서 KC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KC 인증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컨설팅 업체가 있으므로 네이버 등을 통해서 KC 인증 대리 업체를 검색하시면 많은 업체들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전동드릴의 경우 전동드릴을 충전할 때 사용하는 충전기는 전기안전 인증 및 전파인증을 받아야할 것이며, 전동드릴 자체에 배터리가 있는 제품은 전파인증, 전동드릴과 전선코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품은 전기안전인증까지 받아야 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해외 제품을 사서 판매하려고 하는데요 인증을 받아야하는 품목이 아닌것들은?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해외에서 물품을 수입할 때에는 세관장확인대상 수입요건이 있는 경우 수입할 때 이를 세관에 신고한 후 수입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특정 제품이 이러한 세관장확인대상 수입요건에 해당하는지 안하는지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물품의 HS CODE를 알아야합니다. HS CODE가 확정되고 나면 CLIP(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 관세율표 파트로 가셔서 해당 HS CODE를 검색하신 후 세관장확인대상 수입요건에 국내 법령이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세관장확인대상 수입요건 파트에 아무 국내법령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KC인증이나 어린이안전제품에 따른 인증을 받지 않아도 수입이 가능한 물품으로 인식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관세관련 질문입니다 어떻게 관세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말씀주신바처럼 창고비 운송비에 따라 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만, 관부가세와 관련하여서는 물품 가격에 해당 물품의 관세율을 곱한 금액을 관세로 납부해야하며, 물품가격에 관세를 더한 금액에 10%를 곱한 금액을 부가세로 세관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해당 물품의 가격 (운송비 포함)에 물품의 HS CODE를 확인하시어 관세율을 먼저 확인하시고 해당 관세율을 곱한 금액을 관세, 부가세 추가로 국내에서의 창고료, 운송료를 합한 금액이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일반적인 공산품의 관세율은 8%이나 물품별로 모두 관세율이 다르므로 관세율을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농구공을 해외에서 수입해서 판매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농구공의 국내에서의 HS CODE는 9506.62-2000로 분류되며 관세율은 8%가 적용됩니다. 해외의 FTA가 체결된 국가에서 원산지증명서를 입수할 수 있다면 0% 관세도 적용 가능 합니다. 또한 농구공은 수입할 때 인증이나 요건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며 아동용이 아니므로 어린이 안전관리제품법에 따라 관리되는 제품도 아닌 것으로 확인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조선시대에는 배로 무역을 어떻게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조선시대에 서양이랑 무역을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서양에서 만든 증기 기관 선박을 통해서 무역을 진행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조선 시대 때 돛으로 가거나, 사람이 노를 저어 가던 배로는 서양까지 움직일 수 있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 당시에는 표류하는 선박들도 많았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4.02.15
0
0
1081
1082
1083
1084
1085
1086
1087
1088
1089